
군 관계자는 16일 서울 국방부 청사에서 “일본이 주파수 특성 일부를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주파수 특성이 무엇인지 정확히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STIR레이더(추적레이더)의 주파수는 고급 군사기밀에 해당한다”며 “추적 레이더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공개할 수 있는 나라는 한 나라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 측 요구사항은 굉장히 무례한 것이고, 사안의 해결보다는 일본 측 주장을 내세우기 위한 억지 주장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레이더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주파수 특성이 공개될 경우, 실제 전자전 상황에서 전파방해를 받게 돼 우리 군함이 무력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대국에 요구할 수 없는 사항이라는 게 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다만 일본 측은 우리 측의 이 같은 제안에 비공개 방침을 전하고, 레이더 경보기(RWR)의 경보음이 울렸는지에 대해서도우리 측이 물었지만 ‘군사적 보안’을 이유로 명확하게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본 측은 계속해서 우리 함정 레이더 주파수 특성 전체를 요구하고 우리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까지는 협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우리 측은 당시 STIR 레이더를 조준하지 않았다는 자료를 확보하고 레이더 전문가까지 동행해 회의에 참석했지만, 일본 측에서 레이더 전문가도 구성하지 않고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회의장에서는 일본 초계기의 저공 위협 비행에 대한 우리 측의 강력한 항의가 이뤄졌고, 일본 측도 어느 정도는 수긍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일본은 우리 측이 제3국이 일본 초계기와 같이 저공으로 위협 비행을 했을 때 항의할 것이냐고 질문을 던지자, 자신들은 항의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우리 측이 이같은 발언을 외부에 공개해서 국제 사회의 평가를 받겠다는 취지로 말하자, 일본 측은 공식적인 입장이 아니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우리 측은 앞으로 일본의 저공 위협 비행에 대해 우리도 P-3 해상초계기 등을 통해 대응차원에서 마찬가지로 저공 위협 비행을 할 수 있고 좌시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추후 회의 진행 여부에 대해서는 “정해진 것이 없다”고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