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김관영 "文정부 경제성적 낙제점…소득주도성장 환상 벗어나야"
상태바
김관영 "文정부 경제성적 낙제점…소득주도성장 환상 벗어나야"
  • 전성희 기자
  • 승인 2018.09.06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文대통령, 현실 직시를…최저임금 급격인상 최악"
"공무원 수 늘리는 일자리정책, 방법 쉬운 하책 중 하책"
▲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 <뉴시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6일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 기조인 소득주도성장론과 관련해 "무모하다고밖에 따로 칭할 표현이 없다"며 철회를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이같이 말한 뒤 "문재인 대통령께 강력하게 촉구한다. 소득주도성장의 환상에서 벗어나라. 경제현실을 직시하라"라고 주문했다.

 그는 "각종 경제지표상 고용쇼크, 분배쇼크, 투자쇼크라고 한다. 여기에 물가 폭등까지 예상되고 있다"며 "낙제점인 경제 성적표를 받아들고도 문 대통령은 '우리는 올바른 경제정책 기조로 가고 있다'고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현 정부 경제정책의 핵심인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소득 양극화를 해소하자는 취지와 구호는 좋지만 현실에서는 당초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미 증명됐다"며 "가처분소득의 증대는 성장의 과실이지 성장의 토대가 될 수 없다"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소득주도성장 정책 중 최악의 결정은 바로 유례없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라며 "2년 만에 29%나 올라버린 최저임금을 정상적으로 감당할 기업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통상 수준을 넘어서는 최저임금 증가분에 대해 정부는 기업에 직접 지원하겠다며 올해 3조, 내년에도 3조를 편성했다. 허나 정부가 세금으로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그 사이에 최저임금은 또 오를 것이고 악순환은 반복될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또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공공부문 중심 일자리 창출 정책을 거론, "공무원 수 늘리기 정책이 채용시장에 준 신호는 심각하다"며 "정부가 직접 고용하니 방법은 쉽다. 그러나 이것은 역대 정부가 자제해온 하책 중 하책"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공무원 일자리가 늘어난다고 하니 구직시장이 더욱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미충원률은 12%에 달한다"며 "중소기업 등 민간 부문 곳곳으로 진출해야 할 신규인력들 중 상당수가 공공부문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 이것을 정상적인 나라, 나라다운 나라라고 생각하나"라고 따졌다.

 그는 "일자리는 민간에서 만들어져야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일자리는 기업이 성장하고 투자여건이 형성될 때 가능하다"고 일갈했다.

 그는 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노동개혁 정책을 거론, "우리나라도 노동시장 개혁이 필요한 시기"라며 "노동시장 개혁을 위한 관련 입법과 사회적 대타협이 꼭 이뤄져야 한다. 바른미래당도 앞장서겠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