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27일 이달 임시국회와 내달 정기국회에서 협치를 통해 성과를 이루자는 데 공감했지만 4·27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등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자유한국당 김성태·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문희상 국회의장과 비공개 주례회동을 갖고 오는 30일 본회의에서 처리키로 한 민생·규제개혁 법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난 번 합의한대로 8월 국회를 규제완화와 민생경제를 위한 협치정국으로 만드는 데 힘을 모으자고 했다”며 “9월 정기국회에서도 여야 간에 정쟁이 남발하는 것이 아닌 진정한 협치를 위해 양보와 소통을 중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다만 4·27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처리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실질적인 진전이 있어야 한다”며 “(그런 이후) 남북 정상회담의 후속적인 뒷받침은 국회 차원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홍영표 원내대표는 “한반도 비핵화를 성공시키기 위해 이것(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면서도 “합의가 안 됐기 때문에 이 문제는 계속 논의해나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관영 원내대표 역시 “여야 간 입장차가 있는 건 사실”이라며 “대화와 소통, 정보 공유를 통해 간급을 좁히는 것이 국회의 역할인 만큼 계속 고민하겠다”라고 말했다.
야당은 비공개 회동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서도 여당과의 입장차를 드러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문희상 의장께서 판문점 선언 비준을 국회에서 강행 처리할 수 있다는 입장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말로는 협치지만 국회를 다시 정쟁의 싸움터로 끌고 가려는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새로운 민주당 대표가 선출되고 협치를 얘기해 기대된다”면서도 “어제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청와대 정책실장의 발언을 보면 야당과 협치하려는 의사가 있는지 의구심이 드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희상 의장은 “현재 시대 정신에 있는 남북 문제와 촛불 혁명을 완성하는 데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라며 “야당은 견제를 통해 야당 다워야 하지만 적극적으로 나서서 협조해야 할 때에는 협조해줘야 한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