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기후변화로 도시 열섬 심화…신재생에너지로 자체 발전 추진
상태바
기후변화로 도시 열섬 심화…신재생에너지로 자체 발전 추진
  • 전성희 기자
  • 승인 2018.08.19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기부 ‘도시 발전(發電) 시범프로젝트’ 추진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도시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관리시스템 등 기후변화 대응 기술을 중점적으로 개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재생에너지 등을 통해 도시에서 에너지를 ‘생산-전달-소비’하는 ‘도시 발전(發電) 시범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폭염, 가뭄, 한파 등 기후변화로 경제·사회적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어 도시에서 에너지를 직접 생산해 대응하자는 전략이다. 지구 면적의 2%에 불과한 도시는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며 에너지의 78%를 소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까지 도시발전 실증단지 구현을 목표로 핵심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 지원과 기술 확산을 위한 실증 및 생태계 조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기후산업육성모델 22가지를 지원해온데 이어 이 성과를 도시 발전 실증단지로 연결시킨다는 구상이다. 먼저 도시 발전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태양전지, 에너지저장 등 5대 분야의 혁신적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내년부터 건물, 정류장 등 도시 기반시설을 활용한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과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 및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용량 에너지 저장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연구성과는 도시발전에 실제 적용하기 위해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 건물부터 구현하고 중장기적으로 예비타당성 조사(예산 300억원 이상 투입) 규모의 도시발전 연구개발(R&D) 실증단지도 조성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의 기후변화 대응 예산은 지난해 789억원에서 올해 866억원, 내년 946억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도시에는 많은 건축물이나 아스팔트, 자동차 등으로 인해 열섬현상(Urban Heat Island)이 나타나 에어컨 등 전력 소비가 과다할 수밖에 없다”며 “악순환을 끊기 위해 도시발전 시범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의 목표는 단순히 R&D 예산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적 기후기술이 기후산업 그리고 국민 생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차세대 기후기술이 결집된 도시발전을 통해 폭염, 혹한 등 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