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자리와 삶터가 함께하는 융·복합 도시개발을 추진 중인 경기도가 첫 번째 시범 모델 대상지로 광명시를 선택했다.
도는 20일 오전 9시 광명시 가학동 가학광산에서 김문수 도지사와 양기대 광명시장 등이 가운데 찾아가는 실·국장 회의를 열고 '융·복합형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사업 추진 방안'을 내놨다.
이에 따르면 도는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17.3㎢) 남단 자족시설 용지 주변 4㎢를 복합산업단지로 조성해 지구 내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 가운데 산단 조성이 우선 가능한 0.76㎢는 중소기업이 적은 부담으로 입주할 수 있도록 싸게 공급한다.
산단 조성 뒤 부족물량은 국토부와 협의하거나 관련 법령 제·개정을 통해 추가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또 광명시에 IT기반 융·복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도는 지식 및 IT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서울의 수용능력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보고, 광명시를 경기 서남권과 서울 디지털단지를 비롯한 서울 남부권을 묶는 IT기반 거점으로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중앙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KTX 광명역 활성화와 도시철도 7호선 연장 방안 등을 마련한다.
도는 아울러 기아차 소하공장 증축을 위한 개특법(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을 서두르기로 했다.
소하공장은 2008년 개특법 시행령 개정으로 최대 9만4000㎡까지 증축이 가능해졌지만 1800억에 이르는 보전부담금 문제로 투자가 늦어지고 있다.
도는 19대 국회의원선거 뒤 관련법을 바꿔 그린벨트 지정 이전 기존 공장에 대해서는 보전부담금을 면제해 주는 방안을 추진한다.
2015년까지 소하공장 증축을 위해 2860억원이 투자되면 새 일자리 400개가 창출될 것으로 도는 기대했다.
도 관계자는 "광명시는 서울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산업입지 지역이면서 2020년 준공 예정인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 사업지"라며 "광명시를 첨단산업과 물류·유통 거점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