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치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우리측 평화의집이 북미정상회담 장소로도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판문점을 북미정상회담 개최 후보지로 언급한 것 관련 “분단을 녹여내고 새로운 평화 이정표를 세우는 장소로서 판문점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판문점이 분단의 가장 상징적인 장소 아니겠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북미정상회담의 정확한 일정과 개최지는 현재로서 확정된 것은 없다. 시기는 이달 말이 유력한 가운데 장소는 판문점, 싱가포르, 스위스 등이 후보지로 오르내리고 있다.
이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한미정상통화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을 사실상 제안한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문 대통령 제안이라기 보다는 두 정상간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어디가 좋겠느냐’고 이야기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측이 아닌 우리측 판문점 구역인)자유의집과 평화의집 명칭을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에서 판문점을 두고 ‘Representative’(대표적인), ‘Important(중요한)’, ‘Lasting site(지속가능한 장소)’란 표현을 썼지만 한미정상 통화 당시에는 ‘symbolic(상징적)’이란 단어를 사용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6~7월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설’에 대해서는 “너무 성급한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 계획에 대해서는 “조만간 통화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한 무함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과의 공동기자회견에서 트위터 글에 이어 또다시 판문점이 앞으로 3∼4주 안에 개최될 것으로 보이는 북미정상회담 장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는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고 누구는 좋아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제3국이 아닌 그 곳(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선호한다. 그 곳에서 일이 잘 풀린다면 정말 축하할 만한 것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문 대통령과 비무장지대에서 미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문제를 논의했으며 문 대통령이 이를 북한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