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19 16:18 (일)
김정은‚ 분단 후 처음 南 땅 밟는다
상태바
김정은‚ 분단 후 처음 南 땅 밟는다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8.03.29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7년 ‘노란 선’기획한 文대통령…자서전에 ‘극적 장면’ 회고
‘첫 방남’ 역사적 순간 기리기 위해… ‘AGAIN 2007’ 재현 가능성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달 27일 제3차 남북 정상회담 테이블에 마주 앉는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남한 땅을 밟는 것은 분단 이후 처음이다.

남북은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회담에서 4월 27일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또 오는 4월 4일 판문점 남측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정상회담 의전과 경호, 보도 등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회담도 갖기로 했다.

정상회담 날짜가 잡히면서 청와대도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다음달 4일 의전·경호·보도 방식을 논의하는 실무회담을 진행하기로 함에 따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 참석 동선과 이를 예우하기 위한 청와대 차원의 논의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2000년, 2007년 앞선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의 경우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면 3차 회담은 이에대한 답방 형태로 이뤄진다. 

남북이 정상회담 장소를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으로 합의함에 따라 김 위원장은 평양에서 판문점 인근까지 이동한 후 걸어서 군사분계선(MDL)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껏 북한 최고지도자가 남한 땅을 밟은 적이 한 번도 없었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매우 크다.

장소적인 면으로 좁혀 볼 때 외교관례상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초청하는 호스트 역할을 맡게 됐다. 

이에 따라 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내려오는 김 위원장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임종석 비서실장이 이끌고 있는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의 몫이다. 2000년 제1차 남북 정상회담 때 김대중 대통령은 항공편으로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했다. 

김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공항활주로에서 악수하는 장면이 첫 정상회담의 상징적인 장면으로 남았다.

노무현 대통령 때는 끊어진 철도를 이용해 평양까지 가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개성부터 평양까지의 선로 보수문제로 인해 결국 육로를 통한 방북이 결정됐다.

2차 정상회담 준비위원장으로 정상회담을 지휘했던 당시 문재인 비서실장은 육로 방북의 밋밋함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노 대통령이 차량에서 내려 군사분계선을 걸어서 넘는 방안을 추진했다.
당시의 내밀한 이야기들은 문 대통령의 저서 ‘운명’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문 대통령은 “군사분계선 앞에서 국민들에게 인사 말씀을 남기고 떠나는 모습을 더한다 해도 군사분계선을 넘는 모습의 밋밋함은 달라지지 않을 것 같았다”면서 “실무협의팀에 있던 의전비서관실 오승록 행정관이 좋은 아이디어를 내놨다.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걸어서 넘도록 하자는 것이었다”고 회고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에 부딪히자 군사분계선 식별도 단순히 포장된 도로 위를 걸어가는 방법도 마뜩찮았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포장 도로 위에 노란색 페인트를 칠하고, 노 대통령이 그 위를 지나가는 방법이었다.

정상회담을 이벤트화 해서는 안된다는 노 대통령의 서릿발 같은 지시에 다들 주저할 때 문 대통령이 총대를 메고 “북한과 이미 합의가 됐다”는 허위보고로 노  대통령을 설득했다는 대목이 자서전에 담겨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은 효과는 대단했다. 군사분계선을 노란 페인트 선으로 그어 놓으니 더 극적으로 보였다”며 “결국 그 장면이 세계적으로 10·4 정상회담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됐다”고 자서전에 적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 위원장이 남측으로 내려오는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특별한 방식을 준비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다만 문 대통령이 직접 방북하는 것이 아니라 김 위원장이 내려오는 것이어서 우리 측이 동원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일 수 있다. 

하지만 판문점에도 북측지역과 남측지역을 가르는 군사분계선이 표시가 안 돼 있다는 점에서 최소한 경계선을 칠하는 방법 정도는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1년 전 노 전 대통령이 노란 선을 밟고 방북했듯, 김 위원장도 같은 노란 선을 밟고 내려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실무적으로 김 위원장의 동선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 중”이라면서 “문 대통령이 아직 특별히 방법을 지시하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