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만들어 시행한다.
미세먼지(PM-2.5)란 머리카락 굵기의 20분의 1 크기에 해당하는 입자상 오염물질로 입자가 작아 폐포에 직접 도달해 폐렴 및 천식 악화, 폐기능 저하, 암 유발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2004년 평균 65㎍/㎥을 기록한 이후 점차 감소해 2010년 46㎍/㎥으로 측정됐다. 이는 연간 평균치인 50㎍/㎥보다 낮은 것이다.
그러나 도내 17개 측정소 가운데 창원 웅남동(63㎍/㎥), 봉암동(52㎍/㎥), 경화동(52㎍/㎥), 반송로(52㎍/㎥)를 비롯해 하동군 하동읍(52㎍/㎥) 등 5곳은 미세먼지 농도가 연간 평균치를 웃돌았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도내 전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연간 평균치 이하로 낮추기 위해 관리대책을 마련,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대기오염측정망을 20곳에서 25곳으로 확충하고 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을 위해 한·일 환경기술교류 공동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친환경자동차와 자동차 공회전 제한장치 보급을 확대하고 매년 자동차 등록대수의 25% 수준까지 운행차 배출가스 단속도 강화하기로 했다.
대기오염 배출시설 및 비산먼지 사업장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지도·점검과 자율적인 환경관리 체계 시스템 구축, 청정연료 사용 등 9개 과제에 378억1900만원을 투입해 미세먼지를 줄이기로 했다.
특히 미세먼지로 인한 도민 피해를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일부 수도권에서 시행중인 '미세먼지예보제'도 조기에 도입할 계획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미세먼지 저감사업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 시군뿐만 아니라 환경단체 등과도 연계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제도적으로 보완해 반드시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