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반시설을 제외하고도 약 조2조원이 투입되는 경기도 용인 원삼면 일대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단 조성 공사가 한창인 가운데 부지내 한 구간에서 미확인 석물군이 발견돼 시행사측과 문화재당국 안팎에 ‘추정고인돌’ 논란이 예상된다.
4일 경기도 및 용인시문화재당국, 산업단지 시행사 등에 따르면 최근 조성중인 산단 부지내에서 추정고인돌이 발견된 곳은 용인시 원삼면 독성리 산114-1번지 일원 토목공사 구간. 현재로서는 고인돌로 단정할 수 없는 단계여서 ‘추정고인돌’로 부르고 있다.
시행사인 용인일반산업단지(주) 측은 이 일대 1만 1381㎡ 구간에대한 지표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추정 고인돌군(群)이 확인돼 시굴조사대상을 확대했다.
경기도 및 용인시 문화재당국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시행사측은 즉각 문화재당국에 보존조치 통보와 함께 매장문화재 보존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 조사절차에 들어가 원삼면 일원 462만 47㎡에 대한 매장문화재 지표조사에 들어가 26곳의 유존지역에 대해 표본조사와 시굴조사를 실시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해당 지역은 A~E 등 5개 구역을 경기문화재연구원을 비롯한 경기도 5개 문화재 전문 발굴단에 조사를 의뢰하고 진입도로구역의 나머지 1곳에 대해서도 정밀발굴조사를 진행중이다.
구역별로는 지난해 11월 19일 A구역 17만 5000㎡에 대해 경기문화재연구원에 용역의뢰한 것을 비롯해 ▲B구역(12만5000㎡) 기호문화재연구원 ▲C구역( 15만9000㎡) 기남문화재연구원 ▲D구역(15만㎡) 한울문화재연구원 ▲E구역(14만6500㎡)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진입도로 개설공사 부지(1459㎡) 경기문화재연구원 등에서 정밀발굴 조사중이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정밀발굴조사가 완료되기 전 현재 드러난 이들 석물들의 외양만 놓고 보면 한반도 여러곳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이전 선사 고인돌의 외양과는 다른 모양을 띠고 있어 고인돌 문화재로 단정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학계와 전문가들의 최종적인 판단이 있기 전까지는 논란이 예상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용인시 문화재 담당자는 “고인돌로 추정을 한다고 할 지라도 고인돌의 외관에서 알수 있듯이
당시 부족장 등 고인돌 주인의 절대적인 권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가공의 흔적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현재 드러난 것만 본다면 그와는 정반대의 모양이라 어떤 것이라고는 예단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용인시 당국은 “설령 추정 문화재가 보존가치를 갖는 진성 문화재로 확정이 된다고 하더라도 이전 복원 등 절차를 밟게 되면 전체적인 공사기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판단”이라는 입장이다.
매장문화재 보존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 조사절차를 살펴보면,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표본,시굴,정밀)등이 있으며, 지표조사란 땅 위에 드러난 문화재 또는 매장문화재의 징후를 지형을 훼손하지 않은 채 조사해 확인하는 첫단계이며, 지표조사와 달리 땅을 파고 들어가 문화재의 원형을 파악하는 표본조사(유물산포지 대상면적의 2%이내), 시굴조사(유물산포지 대상면적의 10%이내)그리고 정밀 발굴조사로 구분된다.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부지 내의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 독성리 일원 5곳 유물산포지에 시굴조사 의견으로는 대상면적77만264㎡이 삼국시대 이전 청동기시대 고인돌군으로 추정, 문화재당국에 보존조치 통보하고 정밀시굴에 들어간 상태다.
현장 공사 관계자도 “해당 지역에 대해서는 보상을 완료하고 지장물 처리가 된 곳부터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 독성리, 고당리 일원에 조성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단은 그 면적만도 414만㎡에 달해 수원시 소재 삼성전자 면적을 능가할 만큼 대규모 산단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본격화로 반도체 수요의 꾸준한 증대에 적기 대응하기 위한 국내 생산설비 확보하는 기지가 될 전망이다.
이곳에는 ▲SK반도체 외에도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전기장비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정보서비스업 ▲연구개발업 등이 입주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