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4 12:42 (금)
경인고속道 일반도로화 사업 취소 놓고 '갑론을박'
상태바
경인고속道 일반도로화 사업 취소 놓고 '갑론을박'
  • 차성민 기자
  • 승인 2011.12.07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시가 경인고속도로의 일반도로화 사업을 중단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업비를 부풀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인천시는 일반도로화 사업은 취소가 아닌 대체도로 등의 건설과 연계 추진하기 위해 유보한 사업이라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이학재 의원(인천 서구·강화군갑)은 7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송영길 인천시장 취임 후 결정된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고속도로 지하화 및 지상구간 일반도로화) 사업의 취소과정에서 예상 사업비가 3배나 부풀려지는 등 의혹 투성"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날 낸 보도자료를 통해 "인천시는 공사비가 당초 산정액 4451억원 보다 크게 증가한 1조 2547억원이나 되고 연간 유지관리비가 70억원 이상 소요된다는 점을 사업의 취소이유로 밝혔지만 5.7㎞에 이르는 사업구간의 1m당 사업비는 당초 7809만원인 것을 사업포기 시점에는 별다른 근거자료 없이 이 수치가 3배나 증가해 1m당 2억2012만원으로 제시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 "최근 확정되었거나 추진 중인 사업의 비용산정액을 보면 7.53㎞의 '신월IC-여의도 지하터널 사업'은 총 사업비 4813억원에 1m당 사업비는 6392만원이었고 17.2㎞의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총 1조3000억원에 1m당 사업비는 7733만원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도로화 구간 중 루원시티 사업의 공동시행자인 LH공사가 추정한 루원시티내 1.5㎞ 구간에 대한 총 사업비도 1531억원으로 1m당 사업비는 1억원 정도 밖에 들지 않는다"며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안에 대한 검토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포기했다"고 강조했다.

또 "주민들에게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안긴 것은 직무유기와 업무상 배임에 해당한다”며 "의사결정 과정 전반에 공개와 해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가 사업 성패의 전제였던 가정오거리 루원시티 사업은 사업 포기로 직격탄을 맞아 사업성이 급격히 낮아졌고 이 상태로 사업을 추진 할 경우 루원시티 사업에만 1조3000억원의 사업비 손실이 예상되며 이 중 절반인 6500억원은 인천시가 시민들의 세금으로 부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는 취소가 아닌 대체도로 등의 건설과 연계 추진하려는 주요사업이라고 해명했다.

인천시는 이날 해명자료를 내고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사업은 사업비가 당초 예상금액보다 과다하게 투입되고 고속도로 주변 재정비촉진사업 취소 등 여건이 변경돼 향후 추진하기 위해 유보한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이어 "향후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청라지구진입도로(경인직선화) 등 광역도로망 구축사업 및 인천항 재배치 문제 등과 연계해 추진할 계획"이라며 "인천시가 일반도로화 설계과정에서 당초 사업비(4451억원)보다 증가한 1조 2000억원으로 추정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당초 사업비 4,451억원 산정시 루원구간 및 가좌IC재정비촉진사업지구 등이 제외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천시의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는 취소가 아닌 대체도로 등의 건설과 연계 추진하려는 주요사업임을 다시 한번 밝힌다"며 "루원시티 개발사업도 경인고속도로 존치에 따른 사업성 확보방안을 LH와 협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조속한 시일내 개발계획을 확정, 추진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