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5 16:46 (월)
서초구, 길고양이 중성화(T.N.R)사업 시민봉사단 운영
상태바
서초구, 길고양이 중성화(T.N.R)사업 시민봉사단 운영
  • 정화영 기자
  • 승인 2021.03.21 1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길고양이와 주민의 공존을 위한 연결고리
▲ 시민봉사단 활동사진.
▲ 시민봉사단 활동사진.

서울 서초구는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2021년 서초구 길고양이 중성화(T.N.R)사업 시민봉사단’ 운영을 재개한다.

길고양이 중성화란, 'T.N.R : 포획(Trap) → 중성화(Neuter) → 재방사(Return)'의 과정을 통해 가장 인도적이고 국제적으로 검증 받은 길고양이 관리방법이다. 중성화 수술한 고양이는 개체 확인을 위해 왼쪽 귀 끝부분의 약 1cm를 제거하고, 포획된 장소에 다시 방사되어 도시 생태계의 일원으로 살아가게 된다.

봉사단은 이 일련의 과정에서 길고양이의 포획 · 운송, 방사 · 모니터링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시민봉사단 전원에게 길고양이 중성화(T.N.R) 지침 및 민원관련 비대면 교육을 실시하여 길고양이를 보호함과 동시에 길고양이로 인한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한다.

작년에는 총81명의 길고양이 중성화(T.N.R) 시민봉사단이 활동하여 서초구 길고양이 중성화 실적의 80%이상을 달성하였으며, 소외된 길고양이를 보호하기 위해 2018년부터 작년까지 총150대의 ‘길고양이 겨울집’을 배치하였다. 외부 칼바람을 막으면서 바닥과 벽면에 단열시트를 부착하여 길고양이가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체계적인 길고양이 관리로 길고양이가 주변 쓰레기봉투를 뜯거나, 계속해서 우는 등의 생활불편을 야기하는 행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동물권에 대한 인식이 성숙해진 사회 분위기에 동물과 사람이 함께 공존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생명존중 분위기도 도모할 수 있으며, 길고양이 역시 열악한 환경속에서 질병의 위험에 더 노출되는 것에서 보호받을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에게서 사람으로의 감염이 확인된 사례는 없지만, 서울시에서 고양이가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 사례가 있어, 구는 봉사단에게 마스크, 손소독제, 라텍스장갑 등 방역 물품도 지원하며, 봉사자의 안전을 최우선하였다.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앞으로도 시민봉사단과 함께 길고양이의 체계적인 보호와 관리사업을 진행해, 사람과 동물이 함께 즐거운 동물친화도시 서초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