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부실 금융기관을 정리하기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공적자금Ⅰ)의 회수율이 올해 9월말 현재 60.6%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공적자금Ⅰ 168조 6000억원 중 전날말까지 모두 102조 2000억원를 회수했다고 28일 밝혔다.
공자위가 지난 한 달동안 거둬들인 공적자금Ⅰ은 61억원이다. 공자위는 전달 파산배당금, 일반채권의 회수를 통해 각각 45억원, 16억원씩 상환했고, 현대투신증권의 자산유동화회사(SPC)도 청산해 1000만원의 공적자금을 거둬들였다. 추가로 지원한 금액은 없다.
이에 따라 올해 9월까지 공적자금Ⅰ의 누적 회수금은 모두 1조 2000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1~9월)동안에 회수한 공적자금 4조 2900억원과 비교하면 72.0% 줄었다.
공자위는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회사 구조조정을 위해 2009년부터 올해까지 투입한 공적자금(공적자금Ⅱ) 6조 272억원 중 전달말까지 20.4%에 해당하는 1조 2304억원을 회수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공자위는 은행과 제2금융권의 일반담보부채권을 매입하거나 사후 정산하는 데 467억원의 공적
자금을 사용한 반면,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채권 환매 등을 통해 모두 472억원을 회수했다.
금융위는 "공적자금Ⅱ의 경우 인수자금이 대부분 3~5년 만기 일시상환이기 때문에, 2012년 하반기부터 회수가 본격화 되면서 회수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공적자금은 정부가 공적 목적으로 기업이나 금융회사를 회생시키기 위해 조성하는 기금이다.
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1997년 이후에 투입한 자금을 공적자금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투입한 구조조정기금을 공적자금Ⅱ로 구분해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