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인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은 13일 KTX 민영화 반대 결정이 "정부와의 선긋기에 나선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MBC와 YTN 라디오에 잇달아 출연해 "정부가 가장 합리적인 정책을 내세워 동의가 이뤄지면 문제가 없지만 (정부가) KTX를 민간에게 주려면서도 소비자 편익 같은 구차한 변명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심지어 4대강에 참여해 손해를 본 건설사에게 보상을 해주기 위해 KTX를 내주려는 것이라는 여론도 있다"며 "이같이 여론이 작동했을 때 당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앞서 한나라당 비대위는 12일 오전 회의를 열어 KTX 경쟁체제 도입에 반대키로 하고 당정협의를 통해 정부 정책을 수정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박근혜 위원장의 비대위가 이명박 정부와 선긋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김 비대위원은 "인프라는 정부가 깔아주고 운영권을 민간에게 준다고 하는데 서비스 개선과 가격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철도민영화에 성공한 나라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토부가 무슨 근거로 시행을 한다고 하는지 모르겠다"며 "제도정비를 위해 국회에 올 수 밖에 없는데 민영화 도입을 관철시킬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KTX 민영화 논리가 잘못돼 있고 국민 여론도 부정적이어서 반대입장을 표명한 것이지 MB 정부와의 정책 차별화를 위한 결정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비대위 활동이 정부 정책과 상충되는 부분이 많을 것 같다는 질문에도 "잘못된 것은 고칠 수 밖에 없다"고 김 비대위원은 답했다.
인천공항 민영화도 같은 맥락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비대위원은 "인천공항이 세계에서 가장 운영이 잘되는 공항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정부가 왜 수익이 되는 것들을 민간에게 다 내주려하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