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12일 오전 서울 수송동 석탄회관에서 '공공기관 개혁추진 점검회의'를 열고 임금피크제 도입 방안과 메르스(MERS) 대응체계를 논의한다.
이관섭 제1차관 주재로 열리는 이날 회의에는 코트라, 무역보험공사 등 22개 공공기관 대표가 참석한다.
이날 회의에서 공공기관 대표들은 내년부터 60세 정년연장이 의무화될 경우 청년고용이 감소해 세대간 갈등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며 임금피크제 도입 필요성에 공감을 표할 계획이다.
또 오는 8월말까지 내년도 신규채용 목표를 정하고 노사합의 등을 거쳐 2016년부터 전면적인 임금피크제 추진을 결의할 예정이다.
현재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 40개중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관은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6개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다음주경 임금피크제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소관 공공기관의 추진계획 및 도입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최근의 메르스 확산과 관련해 산업부 상황실과 실시간 정보공유 체계 유지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양질의 공공서비스 제공에 만전의 기하겠다는 의지를 다질 예정이다.
이 차관은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는 청년에게는 일자리를, 장년에게는 고용안정을 가져다 주는 상생의 제도로 조속한 도입은 시대적인 요청이자 의무"라며 "기관장들이 책임지고 노사합의를 거쳐 올 하반기까지 임금피크제를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