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金 외교, 김정은 남북대화 공식 상대자로 인정 시사
상태바
金 외교, 김정은 남북대화 공식 상대자로 인정 시사
  • 김상미 기자
  • 승인 2012.01.05 1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5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남북관계와 관련, "북한이 지금 내부적으로 빨리 '결정 매커니즘'을 갖춰 우리한테 답을 보내 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볼(공)은 지금 북한 측에 가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향후 남북 비핵화 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비핵화에 도움이 된다면 얼마든지 북한의 비핵화를 향한 협상에 형식을 구애받지 않겠다"면서 "지금 북한과의 대화라는 것이 없다가도 생기고, 있다가도 다시 없어지기 때문에 결과를 기다려 달라"고 당부했다.

또 3차 북미대화 재개 시기에 대해선 "김정일 위원장 사망 직전에 북미대화가 있었다"며 "북한 측에서 그 문제에 대해서 내부적인 결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자인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협상 파트너로 인정하는가'라는 질의에 "김정은 부위원장이 공식적으로 총사령관에 추대됐다는 것과 현재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의 직책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북한 내부에서 그 두 직책이 군사부문을 제외한 다른 부문에 대해서 얼마 만큼 관여하고 있는지가 분명치 않다"며 "앞으로 조금 더 두고 봐야 되겠다"고 답변했다.

이는 우리 정부가 김정은 부위원장이 북한의 최고지도자임이 공식 확인될 경우 그를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한 협상의 파트너로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어서 향후 남북대화 카운터 파트너가 김정은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김 장관은 또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북한의 지도자를 핵안보정상회의에 초청했을 때에 '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며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키는 조건을 지킨다면 얼마든지 초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김정은 체제' 이후 국방위원회 성명 등을 통해 이명박 정부를 비난한 데 대해 "북한의 성명에 대해서 하나하나 대응할 필요는 없다"며 "과거에도 북한이 그와 비슷한 입장을 표명하고도 또 우리하고 대화를 한 적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크게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 일본과 양자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는 데 대해 그는 "(위안부 문제는) 인도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일본 측에서 실무적·법적 절차를 갖고 얘기하지 말고 정식적으로 결단을 내리고 대승적으로 임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