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6박7일 간의 캐나다·미국 순방을 마치고 26일 오전 귀국할 예정인 가운데 산적한 국내 현안을 어떻게 풀어낼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협상 개시 9년 만에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FTA)에 정식서명하고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다자외교의 꽃'이라 불리는 유엔 무대에 데뷔하는 등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귀국 후 맞닥뜨리게 될 국내 정치 상황은 그리 녹록치 않아 보이는 게 사실이다.
우선 세월호특별법 처리 문제에 막혀 혼란에 빠진 국회 상황은 박 대통령의 순방 기간에도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박 대통령은 출국 나흘 전인 지난 16일 세월호특별법과 관련한 오랜 침묵을 깨고 여당 몫 특검 추천위원 선정시 야당과 유가족의 동의를 받도록 한 여야의 2차 합의안을 '마지노선'으로 못박았지만 여야는 여전히 세월호특별법의 접점 찾기에 난항을 겪으면서 제자리걸음 중이다.
이런 가운데 지도부 공백사태를 빚었던 새정치민주연합이 문희상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들어서면서 국회 정상화 기대감이 높아지긴 했지만 박 대통령 귀국일인 26일 본회의 개최를 두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 중이어서 정상화 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회 정상화는 곧 민생법안이나 경제활성화 법안 처리를 통한 국정 정상화와도 직결되는 만큼 국회 파행이 길어질 경우 박 대통령이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심이다.
송광용 전 교육문화수석의 돌연 사퇴에 따른 후폭풍과 후임자 찾기도 귀국 후 박 대통령이 풀어야 할 숙제다.
청와대가 지난 23일 뒤늦게 해명에 나서면서 논란은 다소 수그러든 모양새지만 송 전 수석이 경찰조사를 받은지 102일 만에 청와대가 이같은 사실을 인지했다는 점 때문에 부실한 인사검증시스템이 재차 도마에 올랐기 때문이다.

이밖에 담뱃값 인상을 둘러싼 증세 논란과 공직사회의 거센 반발에 부딪친 공무원연금개혁 등의 현안을 어떻게 풀어낼지 주목된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한·일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진다. 최근 우리 정부와 일본 간 고위급 접촉이 잦아진 데다 지난 19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일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하는 친서를 보내는 등 양국 관계에 훈풍이 불어올 조짐이 보여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정상회담 가능성이 조심스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이번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도 "전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은 어느 시대, 어떤 지역을 막론하고 분명히 인권과 인도주의에 반하는 행위"라며 '일본'을 직접 겨냥하지 않고 위안부 문제를 간접 언급한 것도 한·일 간 해빙무드를 감안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제안한 고위급 접촉에 응하지 않고 있는 북한과의 대화의 실마리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비록 북한이 인천아시안게임에 선수단을 보내기는 했지만 응원단 파견 무산과 탈북자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문제로 남북관계에 살얼음이 낄 조짐도 보인다.
이같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과 국제사회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권고사항 이행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며 북한이 예민반응을 보이는 인권 문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함에 따라 남북관계 경색이 불가피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