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망함에 따라 북한이 예정대로 2012년을 강성대국 원년의 해로 선포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성대국은 '국력이 강하고 모든 것이 흥하고, 인민들이 세상에 부러움 없이 사는 사상·군사·경제 강국'을 뜻한다.
북한은 김일성 전 주석 탄생 100주년을 맞는 2012년 4월15일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원년의 해'로 선포할 예정이였다.
북한 매체들은 지난 19일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전한 이후에도 강성 대국 건설은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북한 노동신문은 22일자 1면에 게재한 사설에서 "김정은 동지의 영도는 주체의 혁명위업을 대를 이어 빛나게 계승·완성해 나갈 수 있는 결정적 담보"라고 강조했다.
노동신문은 "김정일 동지의 유훈을 지켜 주체혁명, 선군혁명의 길을 꿋꿋이 걸어 나가야 한다"며 "위대한 김정은 동지의 두리에 단결하고 또 단결하며 그의 영도를 충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위대한 장군님의 강성국가 건설염원을 끝까지 실현하는 여기에 우리의 숭고한 도덕적 의리가 있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9일 평양 만수대지구 건설장에서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노력이 계속됐다고 보도했고, 20일에는 평양방송을 통해 "우리 인민은 주체혁명 위업 완성을 위한 진군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전문가들은 이를 근거로 내년에 예정됐던 강성대국 선포행사는 그대로 추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단기적인 추동력은 약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김정은이 일정기간 유훈 통치를 끝내고 체제가 어느정도 안정화 시점에 이른 뒤 강성대국 선포를 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는 김정은이 김 위원장의 유훈이 된 강성대국 건설 추진을 내걸어 정통성을 확보한 뒤 정책 등의 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안찬일 세계북한인총연맹 대표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선언적 의미에서 김정은이 강성대국 선포가 가능하겠지만, 정책 수정은 불가피하다"며 "약간의 표현 수정이 있을 가능성도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김정은은 4월 15일이나 6월에 핵실험을 통해 핵 보유국임을 알리려고 할 수 있다"면서도 "경제 강국은 내용상 변화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정인 연세대 교수은 "김정은은 강성대국을 추진하겠지만 실현과정에서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며 "번영을 상징하는 강성대국으로 순탄하게 넘어가기 위해서는 외국의 식량원조나 경제적 도움이 시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