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민선 5기 새 일자리 목표 60만개를 달성하기 위해 내년부터 중소기업자금 등 각종 기업지원 제도를 고용 확대위주로 재편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13일 오전 김문수 도지사 주재로 열린 실·국장회의에서 이를 보고하고, 지난해 하반기(6만8천개)부터 올해(14만개)까지 만든 20만8천개를 포함, 내년 15만5천개, 2013년 15만8천개, 2014년 상반기 7만9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도가 보고한 대책은 ▲고용 확대기업 지원 ▲고용-복지 연계형 일자리 발굴 ▲일자리사업 효율적 재편 ▲대기업·외투기업 전문인력 공급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근로환경 개선 등이 골자다.
이에 따르면 도는 우선 중기자금, 신용보증 지원 때 일자리를 늘리는 기업을 우대하고, 해외마케팅 지원기준도 수출액 중심에서 일자리 실적으로 전환한다.
또 가사간병 도우미, 노인·장애인 일자리, 장애인 일자리 등 친서민형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업을 늘린다. 이를 위해 도는 내년에 올해 1986억원보다 305억원(15.4%) 늘어난 2291억원을 들인다.
현재 170곳인 사회적기업도 내년 350곳, 2013년 530곳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판로개척과 경영컨설팅 등을 적극 지원한다.
도의 일자리 사업 53개에 대한 성과를 면밀히 분석, 유사사업을 조정하는 등 일자리시스템도 손질한다.
삼성과 LG, 신세계, KCC 등 도내에 투자를 확정한 대기업에 2020년까지 8만28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해 공급한다.
외국인 투자유치도 적극 추진해 내년에만 20곳(19.5억 달러, 일자리 6322개)을 끌어들인다는 구상이다. 도는 올해 외국기업 17곳(17.7억 달러)을 유치해 새 일자리 1만개를 만들었다.
베이비부머 '전담 취업알선창구' 및 전문인력뱅크(D/B)를 구축하고, 유료근로와 자원봉사를 결합한 사회공헌형 모델을 발굴하는 등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일자리 정책도 추진한다.
아울러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주택과 기숙사, 장학금, 보육시설, 체육시설 등이 제 때 공급될 수 있도록 근로환경 개선에도 나선다.
도 관계자는 "지난 10월 현재 창출된 일자리가 15만개로 이미 올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면서 "내년에는 도 경제정책 기조를 경제성장에서 일자리 창출로 전환해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