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피난연결통로·지하화 공사장 상부 적용
암전시 최대 1시간 발광 ‘축광 시트’ 안전표지 부착

서울시가 터널, 지하차도 화재 시 빠른 대피가 가능하도록 불길·연기 속에서도 잘 보이는 ‘안전빛색’을 개발했다.
서울시는 안전한 터널과 지하차도를 운영을 위한 ‘표준형 안전디자인’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초록색과 노란색을 혼합해 개발된 안전빛색의 ‘터널안전경관등’은 우선 ▲홍지문터널 ▲정릉터널 ▲구룡터널 3곳에 시범 적용된다.
효과성 검토 후 다른 터널과 지하차도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표준형 안전디자인’ 개발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하화 공사에 따른 시민과 공사인력에 대한 안전 조치로 터널·지하차도의 피난연결통로와 지하화 공사장 상부 등에 적용한다. 터널 피난연결통로에 안전경관등 형태로 설치한 사례는 이번이 전국 최초다.
이번에 개발한 ‘터널안전경관등’의 경우 건설·국토관리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통한 실증 실험 결과 암전과 연기 발생시 일정 수준 이상의 가시성이 확보돼 대피에 더욱 도움을 주는 기능적 효과가 확인됐다.
터널, 지하차도에 부착하는 ‘안내표지’도 개선한다. 암전 시 최대 1시간 동안 발광하는 ‘축광 시트’를 활용한 위치번호판을 제작해 현재 위치는 물론 출입구 방향과 거리 등의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피난연결통로가 없는 노후 터널 비상 대피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완공·운영 중인 터널, 지하차도는 물론 현재 공사 중인 현장 내 ‘차량 리프트’, ‘근로자 리프트’ 등 기계·장비 사용 안내표지에도 신규 디자인을 적용, 공사 중 추락·끼임 등 인명사고 예방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안전디자인 개발에는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자문에 참여했다. 최성호 서울시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 위원장은 “각종 터널과 지하차도 확대를 통한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긍정적 효과 이면에는 안전사고 위험이 존재하고 있어 인지성 높은 안전디자인의 개발이 시급했는데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의미있는 시도를 했다”고 말했다.
홍승대 한국조명디자이너협회 회장은 “시인성 높고, 조명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안전빛색’을 적용한 ‘터널안전경관등’의 개발로 터널·지하차도 내 안전 관련 정보를 더 명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안전디자인 확산을 위해 지난 3월 ▲서울반도체 ▲KCC ▲한국3M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서울 표준형 안전디자인의 효율적인 개발개발과 확산 및 홍보에 협력하기로 했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서울시가 개발한 터널·지하차도 표준형 안전디자인 설치, 확산으로 시민과 공사인력의 안전을 강화할 것”이라며 “동시에 시인성과 높은 색상과 안전 표지로 그동안 각양각색이었던 터널과 지하차도를 통일성있게 변화시켜 도시미관 개선에도 도움을 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