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6 14:59 (일)
개강 앞둔 대학가, 탄핵 찬반 갈등 확산…"토론의 장 마련해야"
상태바
개강 앞둔 대학가, 탄핵 찬반 갈등 확산…"토론의 장 마련해야"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2.25 1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가 중심으로 탄핵 찬성·반대 목소리
▲ '윤석열 퇴진 긴급 고려대 행동을 준비하는 학생들' 등이 지난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윤석열 퇴진, 쿠테타 옹호세력 규탄 집회를 하자 윤석열 지지자들이 교문 앞에서 맞불 집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 '윤석열 퇴진 긴급 고려대 행동을 준비하는 학생들' 등이 지난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윤석열 퇴진, 쿠테타 옹호세력 규탄 집회를 하자 윤석열 지지자들이 교문 앞에서 맞불 집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놓고 대학가는 최근 찬성·반대로 나눠 대립하면서 신성한 학문의 전당마저 정치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배타적 태도를 지양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5일 취재를 종합하면,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탄핵 반대 시국선언이 최근 늘어나면서 이를 둘러싼 학내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역 혐오 표현도 심심찮게 등장하면서 갈등을 키우고 있다.

앞서 대학가의 탄핵 반대 시국선언은 지난 10일 연세대를 시작으로 서울대, 고려대 등에서 열렸다. 반대 시국선언이 개최될 때마다 인근에서 탄핵 찬성 집회가 열리며 양측의 물리적 충돌도 발생했다.

일부 대학들이 경찰 투입까지 고려하는 상황에서 이화여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의 탄핵 반대 시국선언이 예정돼 있다. 주최자들은 외부인 개입설을 의식해 시국선언 참여 전 재학생, 졸업생 인증도 받고 있다.

캠퍼스 내 의견 대치가 이어지면서 한 대학 커뮤니티에서는 이 사안과 관련해 특정 지역을 지칭하며 비하하는 글도 일부 게시됐다. 이에 동조하는 댓글도 달리면서 갈등이 극단에 치닫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사안과 관련해 대학 내 갈등이 번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극단적인 진영 논리를 통해 국민을 반으로 가르는 '분열의 정치'에서 2030 세대도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것이 주된 의견이다.

전문가들은 대학이 '배움의 터'인 만큼 다른 의견에 대한 배타적 태도보다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총학생회 등에서 재학생 의견을 취합할 때 소수의 의견도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봤다.

실제로 일부 대학에서는 비상계엄 이후 공동 시국선언 발표 전 의견 취합 과정에서 '거수 표결' 방식이 사용됐는데, 이 또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지적이다. 소수 의견을 펼칠 수 없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취지다.

또 이러한 소수 의견 묵살은 곧 반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도 봤다.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는 "1000명의 목소리가 맞다고 해도 10명의 목소리를 들어줘야 하는 것이 민주주의"라며 "소수 의견을 듣지 않으면 다수결에 승복하지 않는 상황이 될 뿐"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그것이 최근 몇 년 간 정치권에서 '반칙이다' '승복하지 않겠다'며 보여왔던 모습"이라며 "혐오를 벗어나 자유롭게 의사표현하고 민주주의적으로도 성숙해야 하는데, 기성세대의 잘못이 전이된 듯하다"고 짚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