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안성시의회, 대설경보 대처 상황 점검
상태바
안성시의회, 대설경보 대처 상황 점검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2.03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골목길 제설 대책 미흡” 지적
▲ 대설경보 발효에 따른 안성시의 대처 상황 점검 모습.
▲ 대설경보 발효에 따른 안성시의 대처 상황 점검 모습.

안성시의회는 지난달 31일, 대설경보 발효에 따른 안성시의 대처 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시민안전과와 도로시설과가 27~28일 사이 발효된 대설경보에 따른 기상 현황, 피해 상황, 제설 작업 진행 현황 등을 보고했다.

회의에 참석한 시의원들은 현재의 제설 방식이 주요 도로 위주로 진행되면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이 많다는 점을 강하게 지적했다. 특히, 자연부락 및 골목길의 제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고령층 주민들의 이동이 어려운 점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으며, "현재의 대응 매뉴얼이 시대 흐름에 맞지 않으며, 도시권과 농촌 지역의 제설 형평성이 부족하다", "고령화가 심한 자연부락은 주민들이 직접 눈을 치우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정열 의장은 "이번 폭설로 인해 마을 안길에 눈이 제대로 치워지지 않아 어르신들의 이동에 많은 불편이 발생했다"며 "향후 유사한 피해를 막기 위해 마을 골목길까지 들어갈 수 있는 소형 제설 장비를 마련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특히, 자연부락과 같은 농촌 지역의 제설 대응이 미흡하다는 점이 집중적으로 지적됐다. 한 시의원은 "자연부락 주민들은 대부분 고령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염화칼슘을 지급받아도 직접 살포하는 것이 어렵다"며 "단순히 자재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의 자연재해 대응 매뉴얼이 수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급변하는 기후환경에 맞춰 대폭 개편해야 한다"며 "특히, 폭설·폭우 등 국지적인 재해에 대비한 실질적인 매뉴얼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안성시의회는 지난해 11월 내린 폭설 이후 지속적으로 제설 대응 실태를 점검해 왔으며, 향후에도 폭설 피해 예방 및 대응책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을 이어갈 예정이다. 다음 회기에서는 자유발언 및 시정질문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대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성시의회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대설 피해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특히 자연부락 및 골목길 제설 대책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