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 59%가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하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서울시는 시민 제안을 수렴해 내년 9월 준공 목표로 본격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상징공간의 의미는 6·25 전쟁에 함께한 22개국 참전국과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리는 데 초점을 뒀다.
시는 지난 6월 광화문 광장에 100m 높이의 태극기 게양대와 ‘꺼지지 않는 불꽃’ 상징물을 세우는 내용의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계획을 발표했지만 과도한 애국주의 아니냐는 등의 논란이 일어났다.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달 “국가상징조형물의 형태, 높이, 기념할 역사적 사건과 인물 등 모든 부문에서 가능성을 열어두고 시민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한 달 간 시민 제안을 받았다.
시는 홈페이지에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대한 의견수렴 창구를 만들고 지난달 15일부터 지난 15일까지 시민 의견을 수렴했다.
시에 따르면 한 달여간 접수된 시민 제안은 총 522건으로, 이 가운데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59%(308건), 반대 응답은 40%(210건), 기타 1%(4건)로 집계됐다.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적합한 상징물은 태극기가 215건(41%), 무궁화 11건, 나라문장 및 국새 각 2건, 애국가 1건 등이었다. 이 외에도 훈민정음, 소나무, 역사정원, 6.25 참전국 국기, 독도 등 다양한 시민 의견이 제시됐다.
상징물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도 나왔다. 미디어아트 작품이나 빛조형물 등을 활용해 광화문광장을 예술성을 겸비한 공간으로 만들자는 제안, 국기게양대 형태의 미디어폴을 비롯해 키네틱(움직이는) 아트 등 예술적 조형미를 살린 상징물을 만들자는 제안 등이 있었다.
또 해시계, 훈민정음 등 역사성이 깃든 상징물을 통해 광화문광장의 위상을 높이자는 제안과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국가 상징적 건축물·공원 등을 함께 조성하자는 의견이 접수됐다.
반면 ‘현재 광화문광장 인근에 국기게양대가 있어 추가 상징물은 불필요하다’, ‘세종대왕상 등 기존에 광화문광장에 있는 국가상징물로 광장의 역사성은 충분하므로 광화문광장 현 상태 유지를 희망한다’, ‘정책 및 예산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등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
시는 이번 시민 제안을 토대로 ▲상징공간의 의미 ▲시민과의 소통 ▲디자인 다양성 및 최첨단 기술 접목 등 크게 3가지에 초점을 맞춰 시민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시민의견 수렴 결과에 대해 전문가 자문과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 심의를 거치고, 이를 바탕으로 지침을 마련해 다음달 설계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