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채용 신체검사비 부담···불공정채용 341건 시정명령
상태바
채용 신체검사비 부담···불공정채용 341건 시정명령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4.07.21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29개소 중 220개 사업장서 적발···과태료 42건 부과
고용장관 "이번 국회서 공정채용법 전면 개정할 것"
▲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구직자들이 상담을 위해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뉴시스
▲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구직자들이 상담을 위해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뉴시스

구직자들에게 채용 시 드는 신체검사 비용을 부담시키고, 불합격 통보도 없이 재공고를 올린 기업들이 고용 당국으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상반기 채용절차법 지도·점검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번 점검은 온라인 구인공고, 청년 다수고용 사업장, 건설현장 등 629개소를 대상으로 지난 5월 1일부터 6월 28일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220개 사업장에서 법 위반 및 개선 필요 사항이 341건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과태료 42건, 시정명령 30건, 개선권고 269건 등이다.

주요 위반 사례는 직무와 무관한 개인정보를 요구한 사례로, 총 34건이 적발됐다.

A제약회사와 B의료재단은 채용 시 자사 이력서 등 양식에 가족관계를 기재하도록 해 구직자 혼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고, C와 D운수업체도 채용 구비서류로 주민등록 등·초본을 기재하도록 해 구직자의 출신지역과 혼인 여부 정보를 수집했다.

E의료재단도 병원 홈페이지에 구직자의 신체적 조건, 직계존비속의 직업 및 직위를 기재하도록 하는 자사 이력서 등을 첨부해 채용공고를 냈다.

현행 채용절차법 4조의 3에 따르면, 구인자는 구직자에 대해 직무 수행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를 기초심사자료에 기재하도록 요구하거나 입증자료로 수집하는 게 금지돼 있다.

이들은 모두 과태료 300만원 처분과 함께 표준이력서 사용을 권고받았다.

채용 시 진행되는 신체검사 비용을 구직자들에게 전가한 F사도 적발됐다. 직물도매업체인 F사는 2023년 채용과정에서 구직자 42명에게 신체검사 비용을 부담시켰는데, 고용부는 시정명령과 함께 구직자들에게 비용을 환급하도록 했다.

이 밖에도 합격 여부를 합격자에게만 고지하고 불합격자에게는 알리지 않고 재공고를 올린 업체들은 개선권고를 받았고, 채용탈락자 수십명의 서류를 보관기간인 180일이 지난 뒤에도 파기하지 않은 업체들이 시정명령을 받았다.

정부는 하반기에도 잡코리아나 사람인 등 민간취업포털 모니터링을 지속해 법 위반이 의심되는 사업장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이들이 키워드 필터링 등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법 위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협업할 예정이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구직 청년들은 면접 후 결과 발표까지 피가 마르는데 불합격자는 탈락 통보조차 못 받아 두 번 좌절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현재 결과를 의무적으로 통지하도록 돼 있지만 처벌조항이 없어 이번 점검에서 개선권고만 45건이 이뤄져, 의무이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국회에서는 공정채용법으로의 전면 개정을 통해 청년 친화적인 채용 관행이 확산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