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올해도 온 불청객 '러브버그'···'익충'이지만 민원 잇따라
상태바
올해도 온 불청객 '러브버그'···'익충'이지만 민원 잇따라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4.06.19 16: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4418건, 지난해 5600건 민원 접수
북한산 인접 은평구, 지난해 3340건 신고
전문가 "도시열섬···러브버그, 고온다습 好"
▲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주요 민원으로 꼽히는 '러브버그(검털파리)'.(사진=용인시 제공)
▲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주요 민원으로 꼽히는 '러브버그(검털파리)'.(사진=용인시 제공)

서울 성북구 길음동에 사는 A씨는 올해도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A씨는 "요즘 들어 러브버그가 눈에 띈다"며 "사람한테 해는 안 끼친다지만 너무 징그럽다"고 했다.

2년 전부터 도심을 강타한 러브버그는 올해도 여전히 기승을 부릴 모양새다. '불볕더위' 등 고온다습한 환경이 조성돼서다.

플로리다대학 식품과학농업연구소(IFAS)에 따르면 러브버그는 26도 이상의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것으로 연구됐다. 여기에 러브버그는 자동차가 내뿜는 배기가스를 좋아해 자동차 유리창 등에서 목격되는 장면도 발견되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러브버그는 2022년 본격적으로 도심에서 모습을 드러낸 후 여름철 대표 혐오 생물로 여겨진다.

윤영희 서울시의회 의원은 전날 '서울시내 러브버그, 팅커벨 대발생 3년차, 민원 폭주에도 서울시 방역조치는 0건'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서울에서 러브버그를 봤다는 민원은 총 4418건이었고, 지난해에는 서울시에서 이 같은 민원 5600건이 접수됐다.

특히 러브버그는 북한산 등 산지에서 자주 출몰한다. 유기물이 풍부한 산지에 러브버그 유충들이 대거 서식하는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북한산과 인접한 서울 은평구는 2년간 러브버그 홍역을 치른 대표적인 지역이다. 윤 의원에 따르면 2022년 서울 은평구에서만 관련 민원이 3558건 접수됐다. 이는 서울 전체에서 80% 수준이다. 구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민원 3340건을 접수됐다.

올해에도 구는 러브버그로 몸살을 앓는다. 구 관계자는 러브버그와 관련해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신고 43건이 접수됐다고 말했다.

서울시도 이번달 1일부터 14일까지 이 같은 신고를 184건 접수했다고 전한 바 있다.

전문가는 러브버그를 기존보다 더 이른 시기에 보게 되는 원인으로 높아지는 기온을 꼽았다.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교수는 "도시 열섬 현상으로 인해 예년보다 더 빠르게 러브버그를 보게 된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 교수는 러브버그가 생태계에 이로움을 주는 '익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러브버그는 유기물이나 낙엽을 분해하는 분해자 역할을 한다"며 토양이 비옥해지는 등 "생태계로서는 좋은 역할"이라고 했다.

시도 지난 14일 '생활보건소식'을 통해 '러브버그는 독성이 없고 인간을 물지 않으며 질병을 옮기지 않는 익충'이라고 전했다. 또 꿀벌과 같이 꽃의 수분을 돕는다고 설명했다.

그렇기에 이 교수는 살충제를 활용한 방역을 경계하자고 당부했다. 그는 "(러브버그를) 죽이면 사마귀, 잠자리 등 포식자도 같이 죽을 것이다"며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신 이 교수는 "러브버그는 물을 싫어한다"며 "물을 사용한다면 지자체가 살충제를 뿌릴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한편 은평구는 러브버그와의 '3라운드'를 대비하는 모양새다.

구 관계자는 "행정동 주민센터에서 지난달부터 영구소독을 했고 보건소에서는 고압 살수반을 가동하고 있다"며 러브버그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