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7 16:35 (일)
이재용 취임 1년, 삼성 콘트롤타워 부활할까…지배구조 ‘촉각’
상태바
이재용 취임 1년, 삼성 콘트롤타워 부활할까…지배구조 ‘촉각’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3.10.03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콘트롤타워 부활…지배구조 개편도 속도 낼 듯
▲ 박수치는 이재용 회장-홍라희 전 관장. /뉴시스
▲ 박수치는 이재용 회장-홍라희 전 관장. /뉴시스

이재용 회장 취임 1주년을 맞아 삼성 계열사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콘트롤타워 부활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의 실적에 경고음이 켜지며 곳곳에서 “삼성처럼 큰 조직에 콘트롤타워가 없으니 효율성과 통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린다.

만약 삼성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삼성 계열사간 사업 협력과 중복 사업 조정 같은 비효율 제거에 긍정적이라는 목소리가 들린다. 

단 과거 삼성 ‘미래전략실’처럼 콘트롤타워가 총수 일가의 지배력 강화에 이용되는 일이 없도록 견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공식적으로 ‘그룹’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고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옛 ‘미래전략실’은 2017년 2월 해체됐다.

이후 삼성전자(사업지원TF), 삼성생명(금융경쟁력제고TF), 삼성물산(EPC경쟁력강화TF) 등 3개사가 각각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계열사들을 관리하고 있다.

이 TF 체제 출범으로 삼성은 계열사별 자율경영을 통한 권한과 책임 조율이 가능했다. 

하지만 TF가 과거 미래전략실처럼 강한 실행력이 있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삼성 전체를 이끌 큰 그림을 그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부진으로 큰 위기에 봉착하자, 경기 침체 속에서 꾸준한 현금창출이 가능한 미래 먹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제기된다.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이처럼 대형 M&A(인수합병) 또는 대규모 시설투자 등 삼성의 미래 준비에도 가속도가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히 제기된다. 

콘트롤타워가 생기면 권한은 막강한데, 주주 승인 등 별다른 통제 수단이 없어 책임은 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대표적이다.

삼성이 콘트롤타워를 부활할 경우 과도한 지배력 분산과 권한 및 책임 일치, 준법 경영 등을 통해 주주 설득이 선행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이 회장의 사내이사 복귀 문제도 실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회장은 현재 삼성전자의 비등기이사이기 때문에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고, 회사 경영 및 권리 행사에서 법적인 권리와 의무가 없다. 

일부에선 이런 이 회장의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기 위해 이 회장이 이사회 일원으로서 활동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