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은 각 기업들에게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요구 강도를 높이고 있다. 기업과 얽혀있는 공급망 전반에 온실가스 배출관리(E), 인권보장(S), 투명한 지배구조(G) 등 ESG 관리 수준을 한층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 멤버사 최초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장비, 소재, 물류 등 협력사 13개 사에 대한 ‘SV 측정 컨설팅’을 진행했다.
이어, 지난 6월 회사는 자사 SV 성과를 발표할 때 협력사들의 성과 창출액도 함께 공개했다.
SK하이닉스의 SV 전담 조직과 외부 전문기관이 함께 한 ‘SV 측정 컨설팅’은 협력사의 SV 창출과 ESG 활동을 정량적으로 측정, 분석해 그 효과를 인지하고 스스로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이다.
SV 측정은 SK그룹의 공통 기준에 따라 ▲고용, 납세, 배당 등 경제 간접 분야 ▲온실가스, 폐기물, 수자원 등 환경 분야 ▲노동 및 인권, 공정거래, 사회공헌 등 사회 분야 등 세 카테고리로 진행됐다.
그 결과, 각 협력사의 SV와 ESG 경영 현황을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소통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 분야에 대한 중장기 목표를 구체적으로 수립하거나, 지역사회 이슈와 사회공헌 활동을 연계해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이뤄지도록 했다.
용수 및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환경 성과 창출과 파트너와의 상생협력, 장애인 고용 우수 사례 등의 경우에는 다른 협력사에 모범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이번 컨설팅에 참여한 협력사 담당자들은 “회사가 하고 있는 활동에 대해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다”며 “정량적 성과는 물론, 개선 활동을 통한 향후 효과 예측까지 가능해져 앞으로 SV 창출과 ESG 경영을 더욱 적극적으로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SK하이닉스 박철범 부사장(SV추진담당)은 “이번 컨설팅을 통해 13개 회사에서 총 1조4698억원의 SV 창출 실적을 확인했다”며 “단순한 성과 측정을 넘어, 반도체 생태계 차원의 SV/ESG 경영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컨설팅을 더욱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