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지난해 서울 공립고 수업료 미납액 14억
상태바
지난해 서울 공립고 수업료 미납액 14억
  • 송준길기자
  • 승인 2013.04.17 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서울 지역 공립고등학교의 수업료 미납액이 14억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서울시교육청이 공개한 '2012년 서울 공립고 징수(수납)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고교 수업료 징수 총 규모는 1741억372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저소득층 등에 감면해주는 금액은 229억7229만원으로 학생들에게 징수해야 할 금액은 총 1513억5700만원이었다.

하지만 시교육청이 집계한 실제 수납액은 1499억4042만원으로 총 14억1657만원이 덜 징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수로 보면 총 100곳의 학교가 미납액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많은 미납액을 기록한 일반계고 A교는 총 1억1365만원을 학생들로부터 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 수업료가 145만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이 학교는 78명 정도가 수업료를 안낸 셈이다.

하지만 수업료를 미납하는 학생에 대해 학교 또는 교육당국이 제재할 방법은 없다.

2011년까지는 수업료 징수기일 경과 후 2개월 이상 체납이 된 학생에 대해 학교장은 출석정지 등을 할 수 있었으며 기간이 길어질 경우 입학허가를 취소할 수도 있었으나 이 법 조항은 2012년 5월 폐지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법이 없어지면서 수업료를 내지 않아도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고 졸업하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어졌다. 사실상 무상교육인 셈"이라며 "교사들이 해당 학부모에게 독촉을 하긴 하지만 그 외에 방법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돈을 못내는 아이들은 저소득층 등 감면을 받는 아이들 외에도 어느 정도 가정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일 것이라고 생각된다"며 "하지만 일부 학부모들은 형편이 되면서도 법이 바뀐 것을 악용, 그냥 내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