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우유 소비를 늘리기 위해 국민기초생활 대상자나 한부모 가정의 초·중·고 학생과 차상위계층 초등학생 등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10만여명에게 국·도비, 시·군비 등 96억원을 들여 우유 무상급식을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와 함께 도는 FTA, 사료값 상승, 구제역 여파 등 삼중고를 겪고 있는 축산농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젖소개량 사업, 경기한우 명품화를 추진한다.
우선 도·시·군비 자부담 등 23억원을 투입해 젖소 13만7000두에 대한 젖소개량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산유능력검정과 선형심사, 수정란이식 등을 실시한다.
또 24억원을 들여 안성 소재 한경대학교에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젖소사양관리, 우유생산시설 및 실험실습 교육기반 시설을 올해 말까지 구축하고 250여곳에는 국·도비, 융자, 자부담 등 948억원을 투입해 축사 신·개축과 내부시설을 과학화한다.
특히 한우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한우 명품화, 송아지생산 안정화, 한우초음파 진단료를 지원한다.
경기한우 명품화 사업으로 16만9000두에 대해 도·시군비와 자부담을 포함 27억원을 투입해 한우개량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혈통등록, 선형심사, 생체단층촬영, 암소검정, 우량암소 육성, 수정란이식 등을 실시한다.
송아지생산 안정화를 위해 축발기금과 도·시군비, 자부담 등 10억을 투입해 송아지 1만두의 안정적인 생산과 사육기반을 구축하고, 한우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 3억4000만원을 들여 출하 전에 초음파 생체단층촬영으로 육질을 진단한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