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일반 여성노인에 비해 우울증 경험 비율이 4배 이상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2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위안부 피해자들은 정서적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 인지 기능 등에서 비슷한 연령대의 일반 여성노인과 비교해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2주 이상 우울증을 경험한 비율은 40.7%로, 일반 여성노인의 9.2%에 비해 4배 이상 높았다.
화장실 이용하기 등 일상생활수행을 위해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약 30% 이상으로, 10% 내외인 일반 여성노인에 비해 3배 정도 높았다.
약 챙겨먹기, 금전 관리하기, 교통수단을 이용해 외출하기 등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50% 이상으로, 20% 내외인 일반 여성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지기능에서 중증장애가 의심되는 경우는 75.9%로, 일반 여성노인 48.8%에 비해 높았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건강검진 수진(이용) 실태를 보면 최근 2년 동안 무료 건강검진 수진자는 44.4%, 2차 건강검진 수진자는 33.3%로 일반 여성노인의 2차 건강검진율 5.8%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지원하는 생활안정 지원금과 간병비 등 지원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조사 대상자들 중 57.4%(31명)는 '만족', 5.6%(3명)는 '매우 만족'이라고 답해 63%(34명)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 중 명예회복과 손해배상 청구를 위한 소송 제의 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42.6%(23명)이 소송 제기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