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식품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일수록 안전한 먹거리를 구입할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고 식품안전정보 이해도가 낮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실 박은진 연구위원은 13일 낸 '안심 식탁을 위한 먹거리 정책 방향' 보고서에서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1일까지 누리서베이에 의뢰,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전 인식 전화조사를 한 결과 이렇게 분석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사회전반에 대한 불안(35.4%)보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39.1%)이 높다고 답했다.
소득별로는 월 가계수입 100만원 이하 저소득층 52%가 식품 불안을 느끼지만, 6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36%만 불안하다고 했다.
이는 저소득층일수록 친환경농산물 등을 얻기 위한 기회가 적고, 경제적 능력이 부족해 상대적으로 저가의 수입식품과 유해식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서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했다.
교육 수준별로도 중졸 이하 저학력층은 56.1%가 식품 불안을 느끼고 있었으나 대졸 이상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응답층은 35.4%에 그쳤다.
하지만 소득·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식품정보를 확인하는 비율은 더 낮았다. 식품첨가물 등 전문 정보뿐만 아니라 유통기한, 원산지 등 기본 정보 확인 비율도 상대적으로 저조해 인식과 행동 간 차이를 보였다.
고소득층은 98.9%가 식품 구입 시 유통기한을 확인했지만, 저소득층의 확인 비율은 80%에 그쳤다. 원산지 확인 비율도 고소득층은 88%에 달했으나 저소득층은 71.4%에 머물렀다.
식품첨가물을 확인하는 비율은 저소득층이 16.1%, 고소득층이 33.7%로 나타났다.
또 고학력층의 95.3%와 80.1%가 유통기한과 원산지를 확인하고 식품을 샀으나 저학력층은 그 비율이 각각 79.6%와 69.4%에 불과했다.
박 위원은 "식품불안감이 높은 저소득층이 오히려 식품안전 정보에 대한 민감성과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식품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