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나로호]우주개발 앞으로 한국형발사체로 계속
상태바
[나로호]우주개발 앞으로 한국형발사체로 계속
  • 송윤세 기자
  • 승인 2013.01.30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I)'가 30일 오후 4시께 세번째이자 마지막 발사를 위해 하늘로 쏘아올려진다.

하지만 나로호의 성공실패 여부를 떠나 우리나라 우주개발사업은 나로호 사업을 디딤돌로 삼아 2021년까지 1조5449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사업을 통해 계속될 전망이다.

30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은 2021년까지 1.5t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에 발사할 3단형 우주발사체를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한다.

나로호는 1단 추진체를 러시아에서 제작해 들여온다는 점에서 사실상 '순수' 우리 로켓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한국형 발사체가 온전한 우리 기술로 만들어진 로켓이라 할 수 있다.

단계별 목표를 살펴보면 1단계(2011~2014년) 사업에는 7t급 액체엔진을 만들고 실험설비를 구축한다. 2단계(2015년~2018년)는 강력한 추진력을 낼 수 있는 75t급 액체엔진을 개발해 시험발사체를 발사한다.

마지막 3단계(2019~2021년)는 75t 기본 엔진 4개를 묶는 클러스터링 기술로 300t급 1단용 엔진을 완성해 2020년과 2021년 2회에 걸쳐 한국형 발사체를 발사할 계획이다.

한국형발사체는 우주 개발의 꿈의 실현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계 전체에 파급 효과도 큰 사업이다.

2009년 예비타당성보고서에 따르면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은 2조955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1조3657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갖고 있다. 2만6834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형발사체(46.5m, 200t)는 나로호(33m, 142t)보다 탑재위성과 발사체 규모가 커 우주센터시설 확장과 발사지원장비 보완이 필수다. 정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과 별도로 확충사업에 2127억원을 투자한다.

발사 시설은 현재의 나로우주센터를 활용해 나로호 발사대 옆에 한국형 발사체를 위한 발사대를 건설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