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7 16:16 (월)
"한국,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 될 수도 있다"
상태바
"한국,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 될 수도 있다"
  • 정의진 기자
  • 승인 2013.01.25 1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2016년 생산가능인구가 3700만명을 정점으로 감소, 2026년에는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 비중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로 국가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임채민 장관 등 정부위원 14명과 민간위원 10명, 윤현숙 한림대 교수, 이소정 남서울대 교수 등은 25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에서 이 같은 문제에 대비한 범정부적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복지부는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위원회는 "젊고 생산적인 인구가 많을수록 경제성장과 재정지출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면서 "스웨덴의 경우 1990년대 이후 출산율 회복에 성공(1999년 1.5명→2010년 1.98명)해 인구증가율과 함께 경제성장률(2011년 인구증가율 0.8%, 국내총생산 증가율 3.88%)도 함께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인구정책의 패러다임을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으로 정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중심으로 정책 수립 및 추진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복지부는 특히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가 국가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며 향후 5~10년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선제적 정책대응의 성공여부에 따라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될 것인지, 아니면 '젊고 활기찬 국가'가 될 것인지가 달라질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이소정 교수는 '노후 준비지표 개발 및 실태조사' 결과 보고를 통해 우리나라의 노후준비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이 교수는 "영역별로는 재무·여가 영역이 50점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낮은편으로 조사돼 향후 노후소득보장 및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개인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올해 첫 과제로 적정 인구구조를 만들기 위한 국가적 아젠다를 정리하고 장단기 개혁 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해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개정 이후 처음 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