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원억 이상의 고가아파트 거래가 급격하게 감소하며 4년내 최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부동산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해양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2006~2012년(1~10월) 전국 9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량을 조사한 결과, 올해 거래건수는 2463건으로 최근 4년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7년 동안 아파트 거래건수를 살펴보면 ▲2006년 6013건 ▲2007년 1652건 ▲2008년 2075건 ▲2009년 7684건 ▲2010년 3382건 ▲2011년 3632건 ▲2012년 2463건 등으로 기록됐다. 2009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다.
서울 지역의 경우에도 ▲2009년 6862건 ▲2010년 3063건 ▲2011년 3176건 ▲2012년 1990건으로 나타났다. 2012년 거래건수는 2009년 대비 약 70%(4872건) 급감한 것이다.
이처럼 고가아파트 매매가 꽁꽁 얼어붙은 이유는 2008년 불어 닥친 글로벌 금융위기와 2009년 강남에서 시작된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투자자에서 실수요자로 재편된 부동산 시장에서 실수요자들에게 고가 아파트의 메리트가 줄면서 가격이 하락한 점도 요인이다. 깊어진 경기침체로 각 가정의 부채와 대출이자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실수요자들이 저렴한 아파트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지방은 ▲2009년 48건 ▲2010년 70건 ▲2011년 130건 ▲2012년 258건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2009년에 비하면 5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208건으로 가장 많고 그밖에 대구 33건, 울산 8건, 대전 7건, 광주 2건 순이었다.
하지만 호황을 누리던 지방도 최근에는 수요위축과 공급과잉현상이 나타나면서 고가아파트 거래가 위축될 조짐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윤 리얼투데이 연구원은 "고가 아파트에 대한수요급감과 주택가격의 하락, 지방시장 위축조짐 등으로 고가 아파트거래는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