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09:54 (화)
국토부, 재료 특성 정확히 반영한 교량설계기준 개발
상태바
국토부, 재료 특성 정확히 반영한 교량설계기준 개발
  • 박성규 기자
  • 승인 2012.02.07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해양부는 실측된 자료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해 재료 특성을 반영한 선진국형 도로설계기법인 한계상태설계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한계상태설계법은 실측된 자료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해 교량구조물에 들어가는 재료들이 하중 등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는 지를 정확히 분석하는 설계방법이다.

그간 국내에서 교량을 설계할 경우, 경험적으로 결정된 하중모델과 계수들로부터 안전도를 확보하는 허용응력법과 강도설계법을 활용해왔다.

철로 만든 강교 건설 시 주로 사용되는 허용응력설계법은 경험치에 의해 철이 하중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는 지를 분석한 후 견딜 수 있는 허용 범위의 10~15% 안에 들도록 설계하는 방식이다.

콘크리트 교량 건설 시 사용되는 강도설계법은 콘크리트에 어느 정도 하중이 가해지면 파괴되는 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해 허용 범위의 10~15% 안에 들도록 설계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재료들이 많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어 국토부는 지난 2003년부터 5년에 걸쳐 서울대학교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도로공사 등과 함께 한계상태설계법을 개발해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계상태설계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 선진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적 발판을 마련했다"며 "갑작스런 설계기술의 변화에 따른 업계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3년 정도의 유예기간을 설정하고 적극적인 교육 및 홍보를 선행한 후 현장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