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9-23 16:35 (화)
압구정에 이어 '반포·서초·여의도'도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
상태바
압구정에 이어 '반포·서초·여의도'도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
  • 김지민 기자
  • 승인 2017.04.19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압구정지구에 이어 반포와 서초, 여의도 아파트지구도 '지구단위계획'으로 통합 관리한다.

인근 상업지역과 교통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획하는만큼, 개별단지로 계획하는 것보다 큰틀에서 통합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이달 말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한다고 19일 밝혔다.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는 지난 1970년대 아파트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정된 서울의 대표적인 대규모 아파트단지다. 이번 용역 발주는, 재건축 가능시기가 단계별로 다가오는 만큼 광역적으로 도시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조치한기 위해서다.

반포 아파트지구는 서초구 반포동과 잠원동 일대 264만9071㎡규모다. 65개 단지, 3만1945세대가 살고 있다. 서초 아파트지구는 서초구 서초동 149만1261㎡규모 일대로 여기엔 22개 단지, 1만3602가구가 거주한다. 여의도 아파트지구는 영등포구 여의도동 일대 55만734㎡에 11개단지, 6323세대 규모다.

이들 아파트지구는 하나의 블록에 학교와 공원 같은 기반시설과 교회와 병원, 시장, 도서관 등 생활편의시설을 갖춰 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때문에 주변지역과 공간적으로 단절되고 폐쇄적인 생활권이 형성됐다. 또한 도심과 한강변 등 도시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데서 문제도 발생했다.

하지만 이번에 지구단위계획으로 통합관리하면, 주거지역 뿐 아니라 인근 상업지역과 교통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시민들의 생활패턴과 공간적 여건을 반영하는 등 개별단지로 계획하는 것보다 큰틀에서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해진다.

이번 서울시 용역 과업내용서에 따르면 주변지역과 단절되고 폐쇄적인 계획에서 탈피해 오픈커뮤니티 및 문화·여가 자족기능이 도입된다. 세대수가 늘어나면서 증가한 주차수요 등을 고려해 광역적 교통개선방향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주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수립 중에도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정비사업은 중단 없이 진행되게 할 방침이다. 주민 요구사항 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자치구와 도시관리계획 수립에 협력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주민 설문조사와 공청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의 목소리에 귀기울일 예정이다. 또한 '도시계획 정책자문단'도 활용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심도있는 논의도 병행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대표적 아파트 밀집지역인 반포와 서초, 여의도 아파트지구가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되면 각 지구별 특성을 고려하면서도 공공성을 담보한 도시관리가 이어질 것"이라며 "변화한 시민들의 생활패턴과 공간적 여건을 반영해 주변 지역과 조화를 이루는 주거단지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