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당 후보들이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당시 사전투표제도의 덕을 보긴 했지만 이 것이 당락에 미친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일 발표한 '상반기 재보궐선거 투표구별 개표결과'에 따르면 서울 동작을 보궐선거에 나선 정의당 노회찬 후보는 사전투표에서 1만1064표를 얻어 새누리당 나경원 당선인(1만641표)을 앞섰다. 그러나 전체투표에선 나 당선인이 3만8311표를 얻어 3만7382표에 그친 노 후보를 꺾었다.
경기 김포 보궐선거에 나선 새정치민주연합 김두관 후보 역시 사전투표에서 1만1886표를 얻어 새누리당 홍철호 당선인(1만1732표)에 앞섰지만 전체투표에선 3만8858표에 그쳐 4만8190표를 얻은 홍 당선인에게 졌다.
평택을 재선거에 나선 새정치연합 정장선 후보도 사전투표에서 5412표를 획득해 새누리당 유의동 당선인(5409표)을 앞질렀다. 하지만 전체투표에서 2만5377표에 그쳐 3만1230표를 얻은 유 당선인에 무릎을 꿇었다.
수원병 보궐선거에 출마한 새정치연합 손학규 후보도 사전투표에서 7255표를 받아 새누리당 김용남 당선인(7298표)을 턱밑까지 추격했지만 전체투표에선 2만7979표에 그쳐 3만2810표를 얻은 김 당선인에게 크게 뒤졌다.

특히 여당 당선인과 야당 낙선후보간 격차가 큰 선거구에선 전체투표뿐만 아니라 사전투표에서도 여당 당선인의 득표수가 야당 낙선후보보다 현저히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야당 지지자들만큼 여당 지지자들도 사전투표를 십분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지난해부터 도입된 사전투표제도가 야당 후보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제도라는 정치권 일각의 예상은 설득력을 잃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