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 연간 2500t 규모의 생산공장 건설 추진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핵심소재 '리튬인산철 양극재' 생산
LG화학이 독일 수드케미와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리튬인산철 양극재를 생산하는 국내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LG화학은 13일(한국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수드케미의 현지 공장에서 김반석 부회장과 귄터 폰 오 수드케미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 조인식을 개최했다.
수드케미사(社)는 독일에 본사를 둔 리튬 인산철 양극재 분야의 세계 최대 업체로 독일과 캐나다에 현지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2차전지 소재를 비롯해 촉매, 흡착제 등 다양한 사업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매출 12억3000만유로(1조9000여억원)를 기록했다.
양극재는 리튬 2차전지 재료비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소재로, 이 중 리튬인산철 양극재(LFP·LiFePO4)는 풍부한 철을 활용해 가격경쟁력이 높고 안전성 및 저장성이 뛰어나 최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LFP 생산과 차세대 소재 공동 개발에 적극 협력키로 하고, 2014년 말 본격 양산을 목표로 국내에 연간 2500t 규모의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합작으로 LG화학은 LFP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사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게 됐다. 특히 수드케미는 LFP 분야의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LG화학은 이번 합작을 통해 향후 제기될 특허 이슈를 사전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FP 세계 시장 규모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ESS용 대용량 리튬2차전지 시장이 현재 6000억원 수준에서 2020년 12조원 수준으로 연평균 35% 이상의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어 LFP 시장도 이에 따라 2015년 5만3000t, 2020년 14만t 규모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반석 부회장은 "양사가 보유한 독보적인 기술과 제조 노하우를 결합해 최고의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합작은 앞으로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지난해 10월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Southern California Edison)와 ESS용 리튬 2차전지 공급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최근에는 세계 최대 전력 엔지니어링 회사인 ABB에 메가와트급 리튬2차전지를 공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