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년 중 껌 매출이 가장 높은 때는 춘곤증이 시달되는 3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CU(씨유)는 지난해 껌의 월별 매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 껌은 본격적인 봄이 시작되는 3월 9.6%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며 일년 중 가장 높은 매출지수를 보였다. 반면 매년 금연보조제로 수요가 높은 1월의 매출 비중은 8.7%로 나들이철인 4월(9.2%)과 10월(8.9%)보다 오히려 낮았다.
절대적인 매출 역시 지난해 3월의 껌 매출은 1월보다 12.1% 더 높았다. 특히 담뱃값 인상으로 금연 열기가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올해도 1월 대비 3월 매출이 17.2% 높게 나타났다.
3월 껌 매출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춘곤증 극복을 위해 많이 구매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껌을 씹으면 턱 관절을 움직여 정신을 집중시키고 껌에서 나오는 당분이 뇌 활동을 도와 졸음을 퇴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껌의 계절별 매출 비중을 보더라도 봄(3~5월)이 전체 매출 중 27.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가을(9~11월) 25.4%, 겨울(12~2월) 24.4%, 여름(6~8월) 22.9% 순이었다. 구매 시간도 점심 이후인 오후시간대(14~17시) 비중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껌 외에도 춘곤증을 이겨내기 위해 카페인이 들어 있는 커피와 에너지음료도 전월 대비 각각 10.1%, 22.6% 매출이 증가했다. 컵얼음에 따라 마시는 아이스드링크 역시 20.8% 매출이 오르는 등 봄을 맞아 관련 음료들의 판매도 눈에 띄게 늘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