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부터 서울 시내버스 16개 노선이 조정된다.
서울시는 상습 정체구간을 운행해 배차시간을 지킬 수 없었던 노선은 변경·단축하고 승객이 너무 적은 노선은 없애는 대신 승객이 많아 혼잡한 노선에 투입한다고 3일 밝혔다.
시민들의 버스 이용불편 해소를 위한 조정이 9건이며 장거리, 노선 중복, 승객과소 등 노선 효율화를 위해 변경된 경우가 6건, 기타 차고지 상습침수로 인해 조정이 필요한 노선 1건 등이다.
먼저 상습 정체구간, 우회 등으로 인해 배차시간을 지키지 못했던 9개 노선의 배차를 조정했다.
9개 노선 중 운행구간이 바뀌는 노선은 ▲142번 ▲2013번 ▲2115번 ▲3219번 ▲6617번 ▲710번이고 단축되는 노선은 ▲3418번 ▲463번 ▲503번이다.
463번(염곡↔국회의사당)은 작년 3월 차고지를 옮기면서 운행거리가 늘어난 데다 왕십리에서 마장역까지 들어갔다 나오다보니 배차시간이 수시로 지연되고, 승객이 반대방향으로 잘못 타는 등 혼란을 겪는 일이 많아 왕십리~마장역 구간을 단축하기로 했다.
503번(광명공영차고지↔남대문)은 서울역에서 남대문을 끼고 남산3호 터널 아래까지 갔다가 돌아 나오는 3.5㎞를 없애 불규칙한 배차를 바로 잡을 계획이다.
상습적인 도로 정체로 배차가 지연됐던 142번(도봉산↔방배)과 710번(상암차고지↔도봉산공영차고지)도 일부 구간을 조정한다.
단 2013번(면목↔신당)은 면목동~답십리~왕십리 구간으로 조정되는데, 겸재교 개통이 지난해 말에서 올해 상반기 중으로 연기되면서 개통 전까지는 장안교를 경유해 임시 우회 운행할 예정이다.
장거리인데다 노선이 과다하게 중복된 ▲163번 ▲1218번은 운행구간을 단축하고 이용승객이 적은 ▲1146번 ▲7719번 ▲8441번 ▲8442번은 없애 승객이 많은 노선으로 투입한다.
중랑차고지→탄천까지 20㎞ 이상을 빈차로 운행하며 상습침수지역인 탄천주차장을 차고지로 이용해 장마철마다 침수 피해를 입었던 41번과 4434번은 ▲242번(중랑~강남)으로 통합한다.
변경되는 내용은 26일까지 버스 내부·정류소에 안내문을 부착해 평소 해당 노선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알리는 한편 120다산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한다.
서울 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http://bus.seoul.go.kr)와 스마트폰 모바일 웹(m.bus.go.kr)에서도 조정된 노선번호와 바뀐 노선도, 주요 경유지 등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