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환자 수 2.5배, 사망자 2.7배 많다

지난 8일 하루 온열질환자 발생이 200명을 넘어선 것과 관련해 질병관리청이 "2018년 8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10일 질병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올해 5월 15일부터 7월 8일까지 누적 122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8명은 사망했다.
질병청은 이와 관련해 "2011년 감시체계가 운영된 이래로 가장 이른 시기에 1000명에 도달한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8일 하루에만 온열질환자가 238명이 발생했는데, 이는 2018년 8월 3일(229명)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질병청은 밝혔다.
2018년은 전국에 기록적인 폭염이 닥쳤던 '최악의 여름'으로 꼽힌다. 감시체계 운영 이래 온열질환자 발생이 가장 많았던 날도 2018년(8월 2일, 250명)에 나왔다.
그때에 견줄 만한 무더위가 올해는 8월도 되기 전 한반도를 덮쳤다는 의미다.
기상청에 따르면 온열질환자 발생이 급등한 6월 28일 이후로 전국 평균 최고기온이 31도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온열질환자 수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약 2.5배 많다. 사망자는 2.7배 증가했다.
현재까지 온열질환은 실외 발생(81.1%)이 많았고, 작업장(28.7%), 논밭(14.4%), 길가(13.9%) 등 야외활동 중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고령층이 33.6%를 차지하고, 50대 이상이 61.1%로 나타났다.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야외근로자와 어르신 등 폭염 취약집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농어민과 야외작업종사자는 고온환경에서의 장시간 활동을 피하고 충분한 물과 휴식시간을 가져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는 예년보다 빠른 열대야와 폭염으로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며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 등 기저질환을 가진 분들의 경우 이웃과 가족들이 자주 안부를 확인하고 시원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