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군산항으로 들어오는 일본산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청의 방사능 오염 감시체계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관영(전북 군산시) 의원이 24일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 수입되는 물품에 대한 관세청의 방사능 검사가 지극히 낮은 수준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이 일본산 물품의 방사능을 검사하는 방법은 현재 휴대용 방사능 탐지기를 이용한 방법, 컨테이너 검색기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휴대용 방사능 탐지기를 이용한 검사율은 지난 2011년에 8.97%, 2012년 9.15%, 지난해 9.21%, 올해는 8월 기준 11.55%로 나타났다.
김해세관의 검사율이 23.09%로 높게 나와 전체적인 관세청 검사 실적이 늘었지만 국민들의 방사능 위험에 대한 우려를 씻어 내기에 11.55%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특히 군산세관의 경우 지난 2011년부터 올해까지 단 한 건의 검사 실적도 올리지 못했다. 일본산 물품에 대한 관세청의 부실한 관리가 어떤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컨테이너 검색기를 활용한 관세청의 방사능 검사 실적은 반입된 20만2126개의 컨테이너 중 1816개의 컨테이너만 검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산의 경우 1123개의 컨테이너가 반입됐고 이 중 컨테이너 검사는 단 10개에 그쳐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
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관리하는 군산항의 경우 일본산 고철 44만2721t 중 무려 72.3%인 32만42t의 고철이 특별한 방사선 검사를 거치지 않았다.
군산항에는 방사선 검사기가 설치돼 있지 않아 방사선 검사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김관영 의원은 "지역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일본산 방사능 오염 물질 관리가 총체적 부실수준"이라고 질타하며 "관세청을 비롯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무분별하게 수입되는 일본산 물질에 대해 특단의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