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10-31 10:28 (금)
10·15 대책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 한파’ 지속될 듯
상태바
10·15 대책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 한파’ 지속될 듯
  • 류효나 기자
  • 승인 2025.10.29 14: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15 대책 시행 후 거래량 79.3% 급감
잇단 수요 억제 대책에 ‘거래 한파’ 전망
▲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10·15 대책 시행 이후 약 2주간 서울 아파트 매물이 급감하고, 거래량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전세를 끼고 매매하는 갭투자가 막히고, 주택담보대출 한도도 줄어들면서 거래 시장이 얼어붙었다.

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8일까지 13일간 체결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713건으로 나타났다. 직전 13일(3일~15일)간 거래량은 3447건인데 10·15 대책 발표 전후를 비교하면 거래량이 79.3% 급감했다.

서울 아파트 매물도 10·15 대책 발표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6만4845건으로, 15일(7만4044건)과 비교해 12.5% 감소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전세를 끼고 내놓은 매물들이 회수되고, 기존 집을 팔아 상급지로 이동하려던 갈아타기 수요도 대출 규제로 매물을 거둬들인 영향으로 분석된다.

규제지역에서는 LTV(주택담보인정비율)가 기존 70%에서 40%로 조정되면서 서울에서 매수를 준비하던 수요자들은 대출한도 축소로 당장 수억원의 현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수요 억제 대책이 잇따라 나오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당분간 ‘거래 한파’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대책 발표 이후 규제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6·27 대책 대비 10·15 대책이 더 강력한 대책으로 평가되는 만큼, 규제지역 내 아파트 시장은 거래 급감, 가격 상승폭 둔화 현상이 상당 기간 유지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는 매매시장과는 달리 10·15 대책 발표 이후 전월세 물건이 되레 증가했다. 특히 연말 신축 입주물량도 증가하면서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은 15일 4만4055건에서 28일 4만4651건으로 1.3% 늘었다. 같은 기간 전세 물건은 0.4%, 월세 물건은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음 달 서울에서는 올해 들어 가장 많은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11월 서울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7242가구다. 이는 월별 기준 최다 물량으로 12월에도 4583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