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4000건대 목전
“단기적으로 거래 조정…선택적 회복 구조”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후 규제 직격탄을 맞은 서울과 경기도 아파트 매물이 일주일 새 1만건 가까이 사라졌다. 규제가 효력을 발휘하기 전 매매가 빠르게 이뤄지는 ‘오일장’이 열린 여파로 향후 부동산시장의 숨 고르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22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수도권 아파트 매물은 서울이 6만8618건, 경기가 17만7083건으로 규제 발표 당일 대비 서울은 7.4%(5426건), 경기는 2.0%(3515건) 감소했다. 일주일 새 서울·경기 아파트 매물이 8941건 사라진 셈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경기 하남시(-18.7%), 과천시(-17.3%), 용인 수지구(-17.3%), 성남 수정구(-16.1%), 성남 분당구(-16.0%), 서울 동대문구(-14.6%), 성동구(-14.5%), 안양 동안구(-14.2%), 성북구(-13.7%), 강서구(-13.4%), 마포구(-12.3%), 동작구(-11.7%), 광진구(-11.6%), 서대문구(-11.3%), 수원 영통구(-11.3%), 강동구(-11.2%) 등 이번에 규제지역으로 묶인 지역의 매물이 두 자릿수대 감소를 보였다.
이는 10·15 대책이 발표된 날로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력이 발생하는 20일 이전 닷새 동안 주택을 사려는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번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 성남 분당 등 경기도 12곳은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3중 규제’가 적용된다. 토허구역 내에서 주택을 사면 2년간 실거주 의무가 생겨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원천 봉쇄된다. 여기에 당분간 시장 흐름을 지켜보려는 집주인들도 매물을 거둬들인 것도 한몫했다.
규제 발효 전까지 연이어 거래가 성사되며 아파트 거래량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8090건으로 이달 말까지 남은 신고 기한을 고려하면 지난 3월과 6월에 이어 9000건을 넘길 전망이다. 10월 거래량도 3642건으로 4000건대를 목전에 뒀다.
지난 3월 강남3구와 용산구 토허구역 재지정, 6·27 대출 규제 발표 때도 급매를 비롯한 매물이 대거 소진된 뒤 거래가 잦아든 것과 마찬가지로 10·15 대책 이후에도 주택 시장이 당분간 관망세로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도 환율 불안 문제가 남아있는 데다가 10·15 대책 발표 이후 정책 영향을 지켜볼 시간이 필요해 보다 늦춰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보유세 강화와 거래세 인하 등 부동산 세제 조정에 대해서도 정부와 여당 사이에 온도차가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