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협상 장기화에 선제적 생산 확대
美 정책 변화에도 정면 돌파 택해 주목

한국과 미국이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관세 협상을 마무리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현대차가 미국 정부의 25% 관세 극복을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계속 늘리고 있다.
현대차는 특히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 종료에도 전기차 가격 인하에 나서며 승부수를 띄웠다. 이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흔들리지 않고, 현대차가 위기 극복을 위해 정면 돌파를 택했다는 분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 앨라배마 공장의 9월 생산량은 3만5371대로 올해 최대 생산량을 달성했다. 9월 생산량은 지난 1월 생산량(2만3251대)과 비교하면 52% 급증한 수치다.
현대차는 전기차를 주로 생산하는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도 생산 확대를 이어가고 있다. HMGMA의 9월 생산량은 4027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8월 생산량(6949대)보다 다소 감소한 것이지만,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 종료 등 전기차 수요 둔화를 감안하면 양호한 수준이다.
현대차가 미국 생산을 이처럼 계속 늘리는 것은 선제적으로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의도다.
현대차는 지난 4월부터 미국에서 25% 관세를 부담하고 있다. 한미 관세 협상이 길어지며 관세 인하가 아직 실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현대차는 미국 생산 확대를 통한 관세 부담 줄이기에 집중하는 상황이다.
현대차는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 종료와 관련해서도 정면 돌파를 택했다. 지난달 말을 기점으로 전기차 보조금 지원이 끝나자 전기차 가격 인하에 나섰다. 전기차 수요 위축에 흔들리지 않고, 가격 인하를 통해 신규 수요 창출을 하겠다는 의도다.
현대차는 미국 내 주력 전기차 모델인 2026년형 아이오닉 5의 판매 가격을 최소 7600달러(약 1080만원)에서 최대 9800달러(약 1390만원)까지 인하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수동적으로 기다리지 않고 능동적으로 관세 국면에 대응하고 있다”며 “향후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관세 인하 조치가 이뤄지면 현대차 정면 돌파 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