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150여명 참석

산업계가 "무리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기업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며 정부에 실현 가능한 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 의원회의실에서 정부의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2035 NDC 산업부문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오일영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후에너지정책관을 비롯해 정은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안영환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남정임 한국철강협회 실장,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박사, 최창민 플랜1.5 정책활동가, 권우현 환경운동연합 선임활동가 등이 참석했다.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는 파리협정 체제 하에서 각 국이 스스로 정하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의미한다. 정부는 오는 11월에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2035년까지 실행할 감축목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날 산업계에선 정부가 산업부문의 감축기술 개발과 상용화 수준을 고려해줄 것을 촉구했다.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최근 우리 제조업들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와 각종 규제, 관세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포기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탄소중립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남정임 한국철강협회 실장은 "정부가 2035 NDC 수립 시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의 상용화 시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소환원제철'은 화석연료 대신 수소(H2)를 사용하는 혁신적인 제철 기술이지만, 철강 업계에선 상용설비 도입 시점이 2037년 이후로 전망하고 있어 이번 계획안에선 제외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정부 측에선 오일영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후에너지정책관이 참석해 정부의 2035 NDC(안)에 대해 소개했다.
현재 정부 감축안에 대해 ▲48%(산업계 요구 반영) ▲53%(2018~2050년 연평균 선형 경로) ▲61%(국제사회 권고안) ▲ 65%(시민사회 권고안) 등이 논의 중이다.
오 기후에너지정책관은 "정부는 과감한 지원과 제도 개선으로 산업계를 든든히 뒷받침하겠다"며 "기업들은 혁신과 기술개발로 응답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