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294개 지역축제와 1650개 지역골목상권을 온라인으로 자동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이달부터 25개 자치구에 개방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하는 서울형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은 시·자치구 예산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데이터 기반 과학 행정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한 서울시 특화 온라인 분석 모델이다.
‘축제·행사 성과분석 모델’은 지역별 다양한 축제를 방문객 행동 유형, 소비 매출 변화, 교통수단 이용 현황, 축제 관련 핵심어 분석 등을 통해 축제·행사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축제 행사 계획 수립과 홍보 방안 수립을 돕는다.
‘전통시장·골목상권 활성화 분석 모델’은 지역별 상권 특성과 소비자 특성을 분석해 방문객 특성, 업종별 매출 추이, 점포 개·폐업 변화, 임대료 상승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지원 정책을 수립한다. 상권 활성화와 둥지 내몰림(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표준분석모델은 서울시가 보유한 공공데이터뿐만 아니라 카드사 매출 자료와 통신 자료 등 민간 자료 활용이 가능하다. 자치구가 별도 민간 자료 구매나 분석 용역 의뢰 없이도 자체적으로 온라인 상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번 모델을 통해 1~2시간 내 동 단위 축제와 구 대표 축제는 물론 동 단위 개별 골목 상권 분석이 가능해졌다.
다만 이 서비스는 시민은 활용할 수 없다. 행정망 서비스 접속이 가능한 공무원이 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시는 올해 자치구 직원 대상 사용자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추가로 자치구 분석 수요가 많은 분야인 ‘불법 주정차 분석 모델’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