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0 17:00 (목)
사도광산 ‘반쪽 추도식’에 與 “항의해야”
상태바
사도광산 ‘반쪽 추도식’에 與 “항의해야”
  • 이광수 기자
  • 승인 2024.11.25 1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사기극에 뒤통수” 정부 책임론도 분출
▲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한국 정부의 불참속에 '사도광산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23일 "우리 정부가 일본에서 열리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하는 대신 별도 행사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뉴시스
▲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한국 정부의 불참속에 '사도광산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23일 "우리 정부가 일본에서 열리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하는 대신 별도 행사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뉴시스

국민의힘은 25일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력이 있는 일본 측 대표가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석해 논란이 된 것을 두고 “정부가 엄중히 항의해야 한다”며 외교 당국의 관련 조치 등을 촉구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정부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모처럼 조성된 한일 우호 분위기를 흔들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정부가 어제 일본 정부가 주관한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하고 오늘 자체적인 추모행사를 열기로 했다”며 “이는 한일 양국 간의 과거사 문제에 관해 일본에 굴복하거나 타협하지 않겠다는 우리 정부의 원칙을 지킨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도광산 추도식이 한일 양국의 민감한 현안임에도 우리 정부의 요구사항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같은 결과가 우리 외교 당국의 안일한 태도 때문은 아니었는지 겸허한 반성과 점검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곽규택 수석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사도광산 ‘반쪽 추도식’, 일본의 과거사 반성 없이는 한일 관계 미래도 없다”며 “정부는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희생자들과 관련된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해 엄중히 항의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일본이 조선인 강제 노역의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었던 건 우리나라의 선의 덕분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윤석열 정부가 한일 관계 개선이라는 큰 목표를 위해 일본의 희생자 추도식과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 등의 약속을 믿고 내린 고심 어린 결정”이라고 했다.

이어 “일본은 조선인 노동자 전시 공간을 광산에서 2km나 떨어진 곳에 마련하고, ‘강제노역’이라는 표현조차 빼버리는 등 약속을 저버렸다”며 “지난 2015년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에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던 일본이 같은 행태를 반복한 것에 깊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대한민국은 일본의 사기극에 또 기만당하고 뒤통수를 맞았다”며 “윤석열 정부는 뭘 믿고 지난 7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찬성해준 건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 들어서 강제징용 제3자 배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사도광산 등 우리는 일본이 원하는 대로 다 내줬는데, 일본은 우리에게 대체 무엇을 해줬나”라며 “윤 대통령은 나라와 국민이 당한 모욕에 대해 국민께 머리 숙여 사죄하고, 외교부 장관 등 정부 책임자들을 엄중히 문책해야 한다”고 밝혔다.

황교안 전 총리는 페이스북에  “일본의 무례함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정부는 앞으로 외교적 면밀함에 더욱더 박차를 가해달라”고 했다.
 

출처=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