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07 13:23 (목)
경기도, 하천 71.4% ‘1~2등급’···2013년 대비 4.2%p↑
상태바
경기도, 하천 71.4% ‘1~2등급’···2013년 대비 4.2%p↑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3.09.11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49개 하천 133개 지점 수질 분석, 95개 지점 ‘좋은 물’
▲ 경기도청 전경.
▲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지난해 도내 49개 하천 133개 지점에 대한 수질을 분석한 결과, 전체 71.4%인 95개 지점이 ‘좋은 물’로 평가됐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좋은 물 비율은 2013년 대비 4.2%p 개선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남한강, 북한강, 한강, 안성천 등 49개 하천 133개 지점을 대상으로 연구원과 환경부가 매월 측정한 수질 결과를 담아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를 발간했다.

수질 분석 결과, 71.4%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기준 2등급 이상으로 평가됐다. 1등급과 2등급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3.0 mg/L 이하로,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 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수질이다.

특히 경안천, 의암댐, 홍천강, 청평댐, 팔당댐, 임진강 상류, 임진강 하류, 한강 하류의 7개 중권역은 29개 전 지점이 ‘좋은 물’로 평가됐다.

도내 좋은 물 비율이 지난해 대비 낮아진 이유로는 한강수계의 갈수기 수질악화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수질평가보고서는 도내 하천·호소에 대한 수질개선 기초자료 확보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2018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다. 보고서는 도내 49개 하천 133개 지점의 ▲ 수계별 오염도 ▲ 수계별 목표 기준 달성도 ▲ 10년간 수질 변화 및 수질 개선율 ▲ 호소 영양상태 등을 수록하고 있다.

수질평가보고서는 도내 시군 등 관련 기관에 배포하고, 연구원 누리집에도 게시해 도민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공공기관 및 도민이 수질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질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며 “도내 하천 및 호소의 수질조사 결과를 반영한 자료인 만큼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널리 유용하게 쓰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