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0 15:10 (수)
‘文 47시간’ 정국 변수되나…野, 북풍 고리로 추석 총공세
상태바
‘文 47시간’ 정국 변수되나…野, 북풍 고리로 추석 총공세
  • 안명옥 기자
  • 승인 2020.09.27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野 ‘세월호 7시간’ 비교하며 ‘文 47시간’ 공격
국회 차원 국정조사, 청문회 추진 주장까지
괜찮아 무무옵
▲ 성명발표 마친 김종인 비대위원장.

북한 해상에서 우리 국민이 사살되고 불태워진 사건으로 국민적 공분이 커지자 야권이 문재인 대통령의 ‘47시간’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과 비교하며 총공세에 나서 정국을 급속도로 냉각시킬 변수로 작용하게 될지 관심이다.

비록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통지문을 보내 의도적인 살인이 아니라는 점을 설명하고 사과를 표명했지만, 이와 별개로 군의 대응과 대통령의 대처 방식 등이 논란이 일고 있는 만큼 ‘북풍’을 고리로 강공 드라이브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북측 통지문에 대한 논평에서 “의미 없는 사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 이대로 끝나서는 절대로 안 될 일”이라며 냉소적 반응을 나타냈다.

추미애 법무장관 아들의 군 복무 특혜 의혹을 비롯해 여권발 악재가 쏟아졌지만 정국 장악에 한계를 드러냈던 만큼 야권은 북한 군 총격 사건으로 코너에 몰린 문재인 정권·여당과 대립각을 세우고 민심 끌어안기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이러한 전략은 추석 밥상머리 민심을 선점함으로써 정국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김종인 비대위 체제 들어 ‘좌클릭’으로 인한 당 내 불만이 고조되던 시점에 안보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어 국민 생명과 직결되는 안보 문제를 중시하는 정당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전통 보수 지지층의 이탈을 막고 부동층을 흡수할 수도 있다.

야권은 잠룡까지 가세해가며 ‘文대통령의 47시간’을 정국을 뒤흔들 ‘태풍의 핵’으로 띄우기에 나선 모양새다. 

47시간은 해수부 공무원이 실종된 22일 오후 6시 30분 첫 서면 보고를 받은 시점부터 24일 오후 5시 15분 청와대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공식 입장을 표명하기까지 걸린 시간이다. 

야권은 문 대통령이 자국민 사살 보고를 받고도 아카펠라 공연을 관람한 것도 문제라는 시각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대통령 종전선언 유엔연설과 연관성 여부, 대통령의 이번 사태 최초 인지 시점, 청와대가 사태를 보고받고 10시간 뒤에 대통령에 보고한 이유,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도 구출 지시를 내리지 않았던 이유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이 분노와 슬픔에 잠겨 있는데 한가로이 아카펠라 공연을 즐기는 모습에 과연 대한민국 대통령이 맞는지 기가 차고 말문이 막힌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청와대가 이 사건의 첩보를 입수한 지 43시간 만에 대통령의 유감 표명과 ‘용납될 수 없다’는 말이 나온 건 뒤늦게 국민의 눈치를 보고 립서비스를 한 것에 불과하다”며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헌법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는 대통령은 국군통수권자의 자격이 없다”고 맹비난했다.

홍준표 무소속 의원은 “내 나라 국민이 총살을 당하고 시신이 불태워 죽임을 당하는 참혹한 사건에 대해 긴급대책을 논의하는 23일 청와대 안보실장 주관 긴급회의에 대통령은 불참하고 관저에서 잠을 자고 있었다”며 “세월호 7시간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을 탄핵으로까지 몰고 간 사람들이 이번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유기를 무슨 말로 궤변을 늘어놓을까”라고 쏘아붙였다. 

국민의힘과 대여 공세에 보조를 맞추고 있는 국민의당에서도 “중요한 시국일 때 짜파구리 파티를 열고 이번엔 아카펠라 공연을 했는데, 위기감도 없고 긴장감도 없고 결기가 안 보이는 정권”이라며 문 대통령을 겨냥한 성토가 쏟아졌다.

안철수 대표는 “대한민국 국민이 우리 군이 지켜보는 가운데 살해당한 엄청난 일이 발생했는데도, 대통령은 새벽 1시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며 “7시간 후인 23일 오전 8시 30분에야 보고를 받았다니 대통령이 그토록 비판하던 세월호 7시간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주장했다.

여야 간 4차 추경 합의를 통해 간만에 협치에 숨통을 틔웠지만 ‘북풍’의 여진이 예사롭지 않은데다 앞으로 국감과도 맞물려 당분간 야권의 거친 공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