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건물 가운데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주거용 오피스텔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KB국민은행이 부동산정보사이트 KB부동산 알리지를 통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거용 오피스텔 전세가 비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8월말 현재 67.3%로 연립주택(58.9%), 아파트(58.1%), 단독주택(41.2%)을 크게 웃돈다.
오피스텔 전세가 비율이 높은 이유는 오피스텔이 월세 수익형 상품이라 전세 매물이 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수요와 공급 논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세가격이 높게 형성됐다는 분석이다.
서울시 주거용 오피스텔 전세가 비율은 3년 전인 2010년 8월 61.8%에 그쳤지만 주택시장 전세 불안, 오피스텔 전세매물 감소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서울에서 주거용 오피스텔의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서구(75.4%)다. 구로구(74.0%), 영등포구(72.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서초구(63.5%), 강남구(61.2%), 송파구(55.6%) 등 강남권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경기도도 상황은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주거용 오피스텔의 전세가 비율은 8월말 현재 72.2%로 아파트(60.1%), 연립주택(53.9%), 단독주택(35.6%)을 앞질렀다. 주거용 오피스텔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의왕시(78.0%), 가장 낮은 지역은 과천시(49.6%)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추세로 오피스텔 소유자들의 월세 선호가 지속되고 있다"며 "전세 공급이 여의치 않을 경우 비율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